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프레닐화 폴리페놀 생산식물의 개발

전문가 제언
○ 식물이 생합성하는 Prenylated Polyphenol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지닌 2차 대사산물이다. Polyphenol은 flavonoid, xanthone, coumarin, phloroglucin 등으로 분류되고, prenyl기를 가진 폴리페놀은 약 1,000 여 종이 분리되어 다양한 생리활성이 밝혀지고 있다.

○ 폴리페놀은 동맥경화 방지, 고혈압 예방, 항종양 작용 등의 생리활성 때문에 기능성식품이나 의약품 원료로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효율적인 합성법이 확립되지 않았고 천연에서의 존재도 미량이거나 희소식물에서 유래하는 것이 많아, 효율성이 좋은 프레닐화 폴리페놀의 생산 메커니즘의 확립이 요구되고 있다.

○ 식물 2차대사 산물에서 폴리페놀을 플레닐화 하는 효소(polyphenol?prenyl transferase) 유전자를 이용한 유용성분의 기술 개발 연구는 세계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Prenylated Polyphenol은 항균, 항종양, 항바이러스, 항산화, 항tyrosinase, 에스트로겐 활성, 항NO생성 활성, 대사 개선, 미백, 알레르기 개선, 당뇨, 골다공증 및 암 예방 등의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 예를 들면 콩과의 고삼, 호프 등 여러 식물에서 발견된 8-dimethylallyl naringenin은 강한 에스트로겐 활성으로서 갱년기장애 개선, 골다공증 예방, 콜라겐 합성 촉진작용, 대두의 glyceollin의 항균작용, 명일엽과 호프 꽃의 xanthohumol이나 xanthoangelol 및 Baccalis의 성분인 artepillin C는 항종양 항암작용, 레몬의 8-geranyloxypsolaren의 혈압조절 효능 등이 보고되었다.

○ 폴리페놀은 화장품, 식품, 의약품 원료로서 다기능을 갖고 있는 이용가치가 있는 식물대사 산물이다. 식물을 이용한 환경부하가 낮은 생산방법에 의해, 고등식물의 플라보노이드에 특이적인 PTase 유전자의 클로닝 등 안정된 프레닐화 폴리페놀의 생산기술을 확립하기 위하여 더욱 많은 연구개발을 진행해야 할 것이다.
저자
Akifumi Sugiyam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9
권(호)
26(1)
잡지명
BIO INDUSTRY(バイオインダストリ-)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41~48
분석자
최*욱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