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영국의 우주개발 반세기

전문가 제언
○ 지난 50여 년간 영국은 우주개발 분야에 괄목할 만한 업적을 달성하였다. 1957년 Skylark 기상로켓을 쏘아 올림으로써 세계 최초로 지형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되었다. 다른 국가들은 지구궤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을 때, 영국은 작은 우주선과 로봇을 활용하여 달과 화성 등 태양계로 진출하였으며 또한 크고 강력한 통신위성을 개발하였다.

○ 영국의 우주탐험과 개발목적이 우주가 아닌 지상에서의 활동에 국한되었기 때문에 사람들은 영국이 아무것도 하지 않은 것처럼 생각한다. 하지만 이제 상황은 바뀌었다. 영국 과학기술부도 유인 우주비행을 정책과제로 간주하는 호의적인 입장으로 바뀌었고, 우주박물관의 건립 등에 힘입어 대중들의 관심과 요구가 증대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 영국의 우주 프로그램도 진정한 의미의 우주개발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 우주산업시장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지난 2008년 전 세계적으로 극심한 경제 불황 속에서도 세계 우주산업시장은 1,444억 달러로 역사상 최대 규모로 커졌다. 2003년 이후 연평균 14% 정도로 꾸준하게 성장하였다. 그중에서도 위성TV, 위성통신, 지구관측 등 위성을 활용한 위성서비스 산업은 전체 우주산업 매출의 60% 정도를 차지한다.

○ 우리나라는 2010년 세계 최초로 3개의 탑재체를 실은 첫 정지궤도위성인 통신해양기상위성을 발사하여 한반도 상공 3만 6,000㎞ 우주 공간에서 통신과 해양 관측, 기상 관측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6월에는 과학통신위성인 나로호 2차 발사가 예정되어 있고, 2010년 말에는 다목적 전천후 실용위성인 아리랑 5호를 발사할 예정이다.

○ 지난 8여 년에 걸친 나로호 개발과정에 국내 160여 개 기업이 참여해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 축적을 이루었고 이를 다른 산업에 적용할 경우 많은 부가가치 창출이 예상된다. 정부와 민간의 적절한 역할 분담과 협력으로 정보기술(IT), 나노기술(NT) 등 우리의 강점 기술을 우주기술에 접목하여 우주 활용분야의 시장을 적극 공략한다면 우주는 미래의 먹을거리를 책임질 성장 동력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저자
Douglas Millard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0
권(호)
66
잡지명
Acta Astronautica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1291~1295
분석자
나*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