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장내미생물이 생산하는 CLA와 박테리오신

전문가 제언
○ 숙주와 장내 미생물의 복잡한 공생기전을 밝히는 것은 아직 시작단계이다. 이들 공생기전은 전체세균과 관련되며 생체활성물질이나 pharma -biotics의 생산 때문이라는 것은 확실하다. 장내 미생물은 생체활성을 갖는 화합물을 생산할 수 있으며 장내환경에 적응하거나 장내환경을 변화시켜 인체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인체장기의 하나인 간의 기능과 동등하다고 할 수 있다.

○ 포유류의 장관 내에서 비피더스균이 생산하는 CLA는 간과 지방성 조직 등 인체 다른 부위의 지방산 조성을 변화시킨다. 또한 투여된 균주는 장내에서 식이 리놀레산을 CLA로 전환하기 때문에 숙주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어 그 이용가치는 매우 크다.

○ 한편 항생물질 사용으로 발생되는 내성균 문제는 매우 심각하다. 따라서 내성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병원성 세균의 생육을 억제할 수 있는 박테리오신을 사용하는 것은 매우 유리한 대안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박테리오신은 위 장관을 통과하는 도중에 분해되므로 장내에서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미생물을 사용하여 감염부위를 치료하려는 접근 방법은 박테리오신을 직접 섭취하는 것보다 훨씬 효율적이라고 생각된다.

○ 앞으로 장내 미생물의 대사산물 생산에 관한 지식을 토대로 하여 생체활성물질을 증산하거나 조절 프로모터를 사용하여 생산량을 조절하는 맞춤형 균주를 만들 필요가 있다. 최근에는 저렴한 가격으로 균주의 전유전체 염기서열을 분석할 수 있으며 미생물 생리와 물질대사를 더 포괄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성분조성에 집중된 연구보다는 유전체 메타분석을 통한 장내미생물의 대사기능을 평가함으로써 건강과 질병관련 중요한 미생물의 연구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고 본다.
저자
R.P. Ross, S. Mills, C. Hill, G.F. Fitzgerald and C. Stanto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0
권(호)
20(4)
잡지명
International Dairy Jour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69~276
분석자
정*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