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탄광 폐재의 재생이용을 위한 플라이애시의 활용평가

전문가 제언
○ 많은 국가에서 전기 생산을 위한 석탄 화력발전소의 높은 의존도가 환경 문제를 안고 있다. 화력발전(TPPs, thermal power plants)에서 탄소연소 분말은 많은 플라잉 애시(FA, flying ash: 노에서 배기와 함께 나오는 불연성의 재)를 포함한다. 이것은 환경적으로 안전한 방법으로 제거되어야 한다.

○ 인도와 여러 다른 나라에서 플라잉 애시 단독 또는 유기물, 무기물과 결합한 플라잉 애시 응용은 광산 폐재에 사용되고 있다. 실트(silt) 크기 입자를 함유하는 플라잉 애시 특성은 낮은 용적밀도(BD, Bulk density), 높은 수분 함유율, 적당한 pH, 그리고 필수적인 식물 영양소를 포함하고 있다.

○ 현재 채광이 완료된 국내에서 신재생에너지원인 풍력발전기 설치를 위해 풍황 조사 등 사전 타당성조사를 추진하고 있다. 석회석광산은 고지대에 위치해 풍력발전 사업의 시행 여건이 양호하므로 석회석을 캐내고 난 훼손지역에 설치하면 복구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 국내에서 석회석을 고온 가열해 만드는 통상의 시멘트 대신, 화력발전소 부산물인 플라잉 애시 등으로 제조되는 콘크리트가 친환경에너지 자원으로 주목을 끌고 있다. 일반적 콘크리트보다 에너지 소비와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은 장점이 있다.

○ 석탄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어 매립장에 버려지던 플라잉 애시를 재활용하는 중부발전은 보령화력과 서천화력에서 나오는 플라잉 애시를 새만금 경제자유구역 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성토용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 산업지구 조성에 필요한 토사 중 상당 부분을 플라잉 애시로 대체함으로써 인근 해역에서 채취해 사용할 예정이던 준설토 양도 크게 줄일 수 있게 되었다.
저자
Lal C. Ram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91
잡지명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603~617
분석자
한*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