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카메라 장치의 특허출원 기술 동향
- 전문가 제언
-
○ 디지털 시대의 정보교류에서는 특히 시각에 의한 정보교류와 소통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그 중에서도 사진과 영상을 통한 이미지 정보의 교류는 매우 중요하다. 본고에서는 디지털 카메라의 특허출원 기술 동향조사 결과에 근거해서 디지털 카메라 기술의 발전상과 시장 동향에 따라 추후 지향해야 할 기술 및 정책 방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디지털 영상 분야는 특히 2002년부터 휴대폰 부착 디지털 카메라(카메라 폰)가 대량 보급되면서 대중화로 확대되었다. 1969년 미국 벨연구소에서 전하결합소자(CCD: Charge Coupled Device)가 발명되었고 Kodak 기술진에 의해 1975년 CCD 이미지센서를 이용한 세계 최초의 디지털 카메라 시제품이 제작되었다. 1981년 일본 Sony에서 세계 최초로 ‘마비카’ 라는 상품명으로 디지털 카메라를 출시하였다.
○ 일본 기업의 특허출원 건수와 비율에서 볼 수 있듯이 세계 최초의 상업용 디지털 카메라를 출시한 Sony를 비롯한 일본 기업들의 기술력은 다른 국가들의 기술 수준을 크게 상회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뒤늦게 디지털 이미지 시장에 참여했으나 1970년대부터 육성해온 반도체 기술과 전자기술의 융합으로 이미지센서 분야에서는 결코 뒤지지 않는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지만 국가적 차원에서 보다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 처음 디지털 이미지센서로 사용된 CCD는 2005년을 기점으로 점차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후속으로 등장한 CMOS 이미지센서가 종래 CCD보다 불리했던 단점들을 하나하나 개선하면서 저렴한 생산비와 부대기능의 단일칩화 가능성 등의 큰 이점으로 그 자리를 대체해 가고 있다.
○ 디지털 영상분야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이미지센서는 일본의 Sony와 한국의 삼성전자를 비롯한 하이닉스, 동부하이텍 등의 기업이 원천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일본의 이번 특허조사 분석 결과가 우리나라 디지털 카메라 분야의 기술경쟁력과 산업생산성 향상과 발전을 위한 보조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 저자
- Yuta Hayam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9
- 권(호)
- 63(8)
- 잡지명
- 映像情報メディア 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1094~1100
- 분석자
- 홍*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