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뇌기능 향상 식품소재

전문가 제언
○ 한국치매협회가 발표한 자료는 2000년 치매환자수가 약 28만 명에서 2007년 40만 명으로 급격히 증가했으며 2010년에는 46만 명, 2020년에는 약 7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향후 걱정되는 질병 역시 암에 이어 두 번째로 치매가 꼽히고 있다. 이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만 있을 뿐 현재로서는 뚜렷한 대비책이 없는 것이 사실이다.

○ 맞춤형 건강기능 식품의 활성화에 따라 뇌 건강 소재로 뇌의 혈류개선을 촉진시키는 DHA, 오메가-3지방산과 포스파티딜세린(PS)이 부상하고 있으며 최근 들어서는 은행잎이나 DHA에 GABA를 배합한 복합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 식약청으로부터 노인의 인지능력 개선에 도움을 주는 소재로 인정을 받은 포스파티딜세린은 우리 몸에서 자연적으로 합성되나 나이가 들면서 줄어들게 된다. 이는 뇌의 신경전달물질인 세티콜린이나 도파민 등을 활성화시키는데, 이들이 기억력과 인지력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미국의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이 알츠하이머성 치매에 걸렸을 때 치매치료와 함께 섭취하면서 더욱 유명해졌다.

○ 현재 일본에서는 뇌 건강 소재로 뇌의 혈류를 개선시키는 DHA, 은행잎 등이 시장과 인지도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그밖에 포스파티딜세린(PS), 빈카마이너, 아라키돈산, 아마부시다케, 인도 전통의학 아유르베다에서 유래한 바코파모니에라, DHA와 결합한 인지질, 알파-GPC 등이 부상하고 있다.

○ 중풍, 치매, 파킨슨병 등에서 발생하는 신경세포의 사멸을 인삼이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노화와 함께 수반되는 인지능력의 감소를 막아주는 효능이 인정되었기 때문에 인삼을 치료약물로서 개발하는 것은 기초성과에서 제약, 식품산업의 신제품 개발로도 높은 가치를 갖게 되며, 한국의 인삼추출액을 건강기능 식품으로 국제화할 수 있는 과학적인 근거가 갖추어져야 한다.
저자
editorial department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9
권(호)
44(10)
잡지명
食品と開發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9~24
분석자
정*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