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혈성 조직 손상에서 세포 보호 전략으로서 체온 저하
- 전문가 제언
-
○ 체온저하는 여러 가지 생물 의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효과적인 세포 보호제로 인정되었다. 그것은 심근경색, 장기 이식, 심폐 우회수술, 척수 손상, 장 허혈 및 신생아 저산소증-허혈의 결과를 개선하기 위하여 연구하여 왔다.
○ 임상 수준에서 신경학적인 결과는 최근 심장 마비와 신생아 저산소증-허혈에서 보였다. 의학계에 의해 점점 더 채택되고 있고 효율적인 신경보호제로 생각할 수 있다.
○ 뇌 손상, 간성 뇌증 및 심폐 우회수술과 같은 질환은 체온저하 중재로 효능이 있는 것 같다. 직접적인 심근 보호에서 그의 역할도 탐구되고 있다. 그러나 심근 보호를 위한 최적의 요인을 확실히 정의할 필요가 있다.
○ 허혈성 뇌졸중의 임상 실험에서 재소통과 치료적 체온저하를 결합하는 전략의 역할이 중요하다. 허혈성 뇌졸중의 임상 적용은 환자를 빠르고 안정하게 냉각하는 기술 개발이 우선이다. 아울러 체온저하가 뇌출혈과 척수 손상에 미치는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저자
- Xian N. Tang, Midori A. Yenar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0
- 권(호)
- 9
- 잡지명
- Ageing Research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61~68
- 분석자
- 정*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