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래종, 생태계 서비스 및 인간복지의 관계
- 전문가 제언
-
○ 토종에 대해 침투한 외래종(Invasive Alien Species, IAS)의 효과를 설명하는 많은 문헌들이 있음에도 이러한 침입종들이 생태계 서비스에 주는 영향에 대한 설명이나 이해를 돕는 지식에 있어서는 많이 부족하다는 느낌을 준다.
○ 본 검토는 행정적인 규제와 문화적 서비스 등에서 나타나는 IAS의 장점과 단점을 보여주고 있으며, 남아프리카 연방, 하와이 등을 포함하는 여러 지역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얻은 IAS에 관한 시너지(synergy)와 교환거래(tradeoffs) 등을 설명하고 있다.
○ 아울러 이 검토서는 거의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서비스와 상호작용들이 무엇들인가를 알아보고, 아직도 파악되지 않는 분야에 대한 연구와 정책방향을 제시해 주고 있는 것이다.
○ 생태계 서비스에 주는 IAS의 영향을 생태학과 경제학에 접합시켜서 의사결정을 유도하려는 것은 자연이 제공하고 있으며, 모든 생물이 의존하고 있는 생명 유지 서비스(life support service)를 회복시키고 지탱시켜주는 핵심적 역할이 될 것이다.
○ 우리나라의 생태계를 파괴하는 외래종으로는 황소개구리, 붉은귀거북, 파랑볼우럭, 큰입배스의 동물종과 돼지풀, 단풍잎 돼지풀, 서양등골나무, 털물 참새피, 도깨비가지 등의 식물종이 있으며 환경부에서는 생태계 위해성 1등급 동/식물로 지정하여 적절한 관리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본 외래종들은 애초 용도가 있기 때문에 도입해서 양식하다가, 그 효용가치가 줄어들어 방치하는 까닭에 개체가 늘어난 것이다. 우리나라도 도입 시부터 감시하는 체계가 있어서 외래종이 불필요하게 늘어나는 것을 사전에 막는 제도적 장치가 있어야 하겠다.
- 저자
- Liba Pejchar and Harold A. Mooney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9
- 권(호)
- 24
- 잡지명
- Trends in Ecology & Evolu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497~504
- 분석자
- 김*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