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근질환에 대한 스플라이싱이상
- 전문가 제언
-
○ 스플라이싱은 Pre-mRNA에서 인트론이 떨어져 나가고 완성된 mRNA를 형성하기 위해 엑손들이 연결되는 분자메커니즘으로서 snRNPs (small nuclear Ribonucleoproteins)로 이루어진 Spliceosome에 의해 촉매된다. 이러한 cis-스플라이싱과 달리 trans-스플라이싱은 동일 Pre- mRNA내에 있지 않는 두 개의 엑손이 결합하는 스플라이싱 형태이다.
○ 특히 Spliceosomal splicing은 진핵세포에만 존재하는 것으로서 이 스플라이싱 기전에 결함을 가져오는 변이는 여러 가지 질병의 원인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스플라이스 위치의 변이가 기능을 상실하게 되어 조기종결코돈, 엑손결실, 인트론삽입, 아미노산의 삽이나 결손, ORF (Open Reading Codon)의 결실 등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 이들 스플라이싱 결함 중에는 많은 부분이 NMD(Nonsense-mediated mRNA Decay)라고 부르는 세포의 수정메커니즘에 의해 보호를 받는 다고 알려져 있다. 현재 이 연구 분야에서는 ESSENCE(Exon-Specific Splicing Enhancement by small Chimeric Effectors)라는 방법에 의해 스플라이싱 분자가 세포내로 쉽게 투입되어 원하는 스플라이싱 표적에 도달할 수 있는 분자까지 개발 중에 있다.
○ 앞으로 이러한 NMD의 수정메커니즘의 명확한 해명을 위해서는 보다 깊은 세포생리학의 기초적 연구가 활발해져야 하며 특히 ESSENCE분자의 개발에는 여러 전문분야에 걸친 학계와 연구계의 체계적이고 분업적인 공동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tRNA의 수식과 단백질 자체(intein과 extein)의 수식은 물론 이들 작용이 이루어지는 세포질내의 환경조건과 연계된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 저자
- Oun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9
- 권(호)
- 54(16)
- 잡지명
- 蛋白質?核酸?酵素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2239~2244
- 분석자
- 백*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