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열대 호염성 미생물 배양으로 탄화수소 오염물질의 바이오 정화

전문가 제언
○ 석유 추출기술과 저유지(reservoir) 특성은 발생하는 폐수량에 영향을 준다. 현재 이용되고 있는 유전폐수 처리 공정을 사용하여 처리된 방출폐수는 토양, 수로 및 지하수를 오염시킨다. 즉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도시 폐기물, 생활 폐기물, 산업 폐기물과 같은 각종 폐기물은 처리하지 않으면 환경파괴를 야기하므로 자원을 보호하고 자원을 회수하기 위해 적절한 처리가 필요하다.

○ 원유와 천연가스를 생산하는 공정에는 많은 양의 물을 사용하여 폐수가 발생한다. 마이크로 여과와 바이오 공정이 연합한 일부 부지의 유전 폐수처리에서는 석유생산량의 10배의 폐수가 발생한다. 유전폐수는 n-alkane(TNA),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PAHs), 벤젠 및 페놀 등 유기 오염물질을 상당량 함유한다. 기존의 처리로 폐수의 높은 COD(2,000㎎/L 이상)를 200㎎/L 이하로 감소할 수 없다. 그러므로 방출수는 DOE(미 에너지부) 허용치를 만족시킬 수 없고 또 유입수의 COD 변동이 매우 심하다.

○ 현존하는 대부분의 처리 방법에서 폐수는 생물학적 처리기(bioreactor)에 주입되기 전 물리적으로, 화학적으로 선행 여과되었다. 마이크로여과, 찌꺼기 떠냄(skimming) 및 코코넛 껍질 여과가 물리적 처리와 따뜻한 연화법(warm softening)이고, 응고제가 화학처리로 사용되었다.

○ 그러나 이 특허는 폐수에 있는 원유를 생분해(biodegrading)할 수 있는 분리 열대 호염성(halophillic) 미생물 공동체(consortium)를 배양하여 폐수와 혼합하여 발효시킨 다음, 멤브레인(분리막)에 주입하여 부유 고형물을 분리한다.

○ 이 특허에서 청구하는 가장 중요한 내용은 열대 호염성 미생물 공동체인데 말레이시아 천연 미생물이므로 이러한 특수 미생물을 구입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구입하더라도 미생물을 안전하게 배양하는 것도 문제다. 이 특허에서 청구하는 장치는 펌프, 믹서, 바이오 반응기, 멤브레인, 폭기 등으로 국내에서도 실험실과 생산단계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저자
Universiti Putra Malaysia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WO20100008268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6
분석자
유*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