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온세균에 있어서 장쇄고도불포화지방산의 생합성과 기능
- 전문가 제언
-
○ 장쇄고도불포화지방산(LC-PUFA : Long-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의 1종인 Eicosapentaenoic acid(EPA)는 인지질의 acyl쇄로서 동물이나 해양성 저온세균의 막에 존재하고 있으며 건강식품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는 기능성지방산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을 첨가한 식품이나 보충제가 개발되는 등 주목을 끌고 있으나 생체막에 있어서 기능발현 메커니즘에서는 아직 불명한 점이 많다.
○ 세균에서는 선충이나 곰팡이하고는 전혀 다른 경로로서 장쇄고도불포화지방산이 합성된다. EPA나 DHA(Docosahexaenoic acid)를 생산하는 세균의 대부분은 γ Proteobacteria에 속하는 Shewanella 속, Photobacterium 속, Moritella 속, Colwellia 속, Psychromonas 속의 해양성 저온세균이며 해양성 세균 이외에도 해양성 진핵미생물인 Labyrinthulea류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 이와 같이 진화적으로 서로 떨어진 생물 사이에 공통된 대사경로가 존재함으로써 n3계 장쇄고도불포화지방산 생합성계 유전자군은 이들의 생물 사이에 널리 퍼져있다. 인간은 메틸말단으로부터 3번째의 탄소와 그 다음의 탄소 사이에 이중결합을 도입하는 Desathulase 효소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EPA나 DHA를 직접 합성할 수는 없다.
○ n3계 장쇄고도불포화지방산 생산성세균의 대부분은 γ Proteobacteria에 속하는 해양성 저온세균으로 저온환경에서 생육하며 이들이 생산하는 효소의 대부분은 저온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며 따라서 열의 안정성이 낮기 때문에 고온에서는 빠르게 효소가 그 활성을 잃게 된다.
○ n3계 장쇄고도불포화지방산에는 항염증작용, 항종양작용, 심장질환 발증 위험 저감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이를 활용한 보건용 기능성식품 및 의약품 개발에 관심을 갖게 한다. 또한, 해양성 저온세균은 열안정성이 낮아 효소가 쉽게 활성을 잃게 됨으로써 세제로서의 첨가제, 식품의 가공용 효소 및 분자생물학연구용 시약 등의 응용이 앞으로 크게 기대될 것으로 생각하며 이에 대한 관심을 촉구한다.
- 저자
- Tatsuo Kurihar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0
- 권(호)
- 55(1)
- 잡지명
- 蛋白質?核酸?酵素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94~99
- 분석자
- 최*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