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bamo-virus의 숙주 구역 제한 메커니즘
- 전문가 제언
-
○ 생명활동은 다양한 분자사이에서 복잡한 상호작용이 정교하고 치밀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생물의 Genom은 살기위해서 필요한 분자 간 상호작용을 유지 혹은 보강함과 아울러 마이너스(Negative)로 작용하는 상호작용을 배제하는 방향으로 진화되어온 것이 그 간의 생물학적인 분자규명으로 확인되고 있다.
○ 바이러스도 같은 양상으로 특정의 숙주생물종에만 한하여 감염을 반복하게 됨으로서 스스로 코드(code)하는 인자와 숙주인자와의 사이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의 활동 중에서 바이러스증식이 올바르게 작용하는 것을 보강함과 동시에, 부로 작용하는 것은 스스로 배제하는 방향으로 진화되어 왔기 때문에 특정의 숙주생물종에만 감염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어느 숙주에 적응된 바이러스라도 다른 생물종의 세포에 침입하게 되면 우연하게도 상호작용으로 인한 방해를 받을 가능성에 노출하게 된다. 그 예로서 TMGMV (Tabaco-mild green mosaic virus)와 Tomato계에서는 바이러스가 한 세포내에서 복제하기 위해서 필요한 인자가 Tomato에 준비되어 있음에도 불고하고 복제단백질과 결합해서 기능방해를 일으키는 성질을 우연하게도 가지고 있던 tm-1의 경우 Tomato가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감염이 방해된 것으로 생각하게 된다.
○ 지금까지의 바이러스에 관한 연구의 대부분은 바이러스가 어떤 생물종에서 증식이 가능하며 또한, 치명적인 방해인자를 갖지 않은 생물종을 이용해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따라서 바이러스와 생물과의 관계를 규명할 때 방해적인 상호작용은 그 동안 과소평가된 것으로 생각된다.
○ 이러한 바이러스의 숙주영역 제한 메커니즘에서 우리가 고려하여야 할 것은 바이러스가 증식이 가능한 숙주에서도 바이러스의 증식을 완전히 억제할수록 친화성이 강한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또한 바이러스가 단백질이나 핵산과 결합하는 방해인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최근에 그러한 인자가 발견되고 있다.
- 저자
- Kazuhiro Ishibash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0
- 권(호)
- 55(1)
- 잡지명
- 蛋白質?核酸?酵素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88~93
- 분석자
- 최*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