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동차산업의 기술혁신: 청정 자동차를 향한 새로운 기술

전문가 제언
○ 화석연료의 과도한 사용에 따른 자원의 고갈 및 환경오염에 대한 대책으로 환경친화성이 높은 대체연료와 대체동력에 관한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일부 환경 단체에서는 대체연료인 바이오 연료를 생산하기 위한 무분별한 재배는 비료와 농약의 과도한 사용에 의한 환경 파괴를 초래할 것이라는 비판도 제기하고 있다.

○ 대체연료 사용을 위한 다양한 기술의 개발은 자동차에 에탄올, 가솔린, 또는 두 연료를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브라질에서는 1975년부터 사탕수수로부터 추출한 에탄올을 자동차 연료로 사용하는 정책을 추진하여 1984년에는 신차의 94.4%가 에탄올을 연료로 사용하여 최대치를 기록하였으나, 그 후 유가하락과 사탕수수의 부족으로 점유율은 하락하고 있다.

○ 연료 효율이 높고 배출 가스가 적은 친환경 차량에 대한 연구는 1970년대 오일쇼크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가장 먼저 시도된 것이 전기 자동차이지만 배터리의 크기, 긴 충전 시간, 짧은 주행 거리 등의 단점 때문에 실용성이 아직은 제한적이다. 그 대안으로 개발된 것이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로 1995년에 일본의 도요타 자동차에 의해 소개되었다.

○ 수소 연료전지 자동차는 수소의 이온화 과정을 통하여 발생되는 전기의 힘으로 모터를 돌려 자동차를 구동하는 무공해자동차로 핵심부품인 고분자연료전지(PEMFC,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는 작동온도가 낮고 반응시간이 빨라 자동차용으로 개발되고 있다. Honda는 2008년에 300대의 수소연료전지 자동차를 생산하였다. 그러나 가격이 높고 내구성이 미흡하여 미국의 Ford와 프랑스의 Renault는 2009년에 연료전지 자동차의 기술개발을 축소한 바 있다.

○ 국내에서는 현대자동차가 2010년도에 500대의 수소연료자동차를 생산할 예정으로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와 더불어 친환경자동차에 대한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관련 핵심 부품 기술의 개발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저자
Clovis Zapata , Paul Nieuwenhuis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0
권(호)
18
잡지명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14~20
분석자
진*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