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국의 저탄소 발전 장기 계획 분석

전문가 제언
○ 중국의 급격한 경제 성장으로 최근 몇 년 사이에 전력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중국은 넓은 국토에 막대한 재생에너지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연간 석탄 생산량은 25.5억 톤으로서 미국 다음으로 세계 최대 석탄 생산 및 소비 국가이다. 발전용으로 연간 약 12억 톤의 석탄을 사용하며 현재 총 발전규모는 793GW에 달한다. 수년 이내에 발전용량이 900GW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의 CO2 배출량의 82%는 석탄 연소에 기인한다. 더욱이 전력소비 증가에 따른 CO2 배출량이 급증하고 있어 온실가스를 줄여야 하는 국제적인 압력이 가중되고 있다.

○ 중국 정부의 저탄소 발전계획을 분석해 보면, 현재 재생에너지 발전용량을 160GW에서 2020년까지 530GW로 증가시킨다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설비 규모로 볼 때 이는 실현성이 다소 의문시된다. 중국 정부가 향후 10년 동안 CO2를 줄이기 위해 저탄소 발전기술 프로그램을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갈 수 있다면, 2020년까지 저탄소 발전 규모는 530GW에 달할 것이다. 또한 현재 중국 석탄 발전소 발전용량의 88%를 저탄소 발전설비로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 원자력발전의 경우 중국은 1994년에 944MW의 상업운전이 개시되었다. 2007년 기준으로 총 원전 시설용량은 8.58GW, 11기가 가동 중이다. 우리나라는 1962년 100kW, TRIGA Mark-II 시험용 원자로를 가동하고, 1978년 고리원자력발전소 I호기(587MW, PWR)의 상업운전을 개시한 이래, 현재 20기의 원전이 가동되고 있어 원자력 분야에서 우리나라가 중국보다 앞서 있다.

○ 최근 UAE의 원자력발전소 수출은 그동안 정부 주도로 연구소 및 기업에서 원자력 분야에 투자한 많은 노력의 결실이라 하겠다. 1997년부터 대체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보급 촉진법이 제정되어 우리나라는 본격적인 신재생에너지 연구 개발을 추진하게 되었다. 중국의 중장기 저탄소 전력개발 프로그램에서 보듯이 우리나라도 온실가스를 줄이고, 그간의 연구개발이 결실을 거둘 수 있도록 정부의 과감한 정책 지원이 지속적으로 뒷받침되기를 기대한다.
저자
Qiang wang, Yong Che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0
권(호)
14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014~1025
분석자
박*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