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소산악지역 에어로졸의 관측과 과제

전문가 제언
○ 에어로졸은 심폐기능을 약화시키고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며 시계를 악화시키는 등의 오염물질이다. 또한 태양광 복사를 흡수 및 산란시켜서 대기의 복사 수지에 영향을 미치며 기후변화의 파악에 매우 중요한 변수가 된다. 특히 화산이나 산불, 황사 등 자연발생적인 에어로졸뿐 아니라 동아시아의 급격한 산업화로 인한 오염물질 배출 등 인위적인 에어로졸의 농도가 크게 증가하고, 생성된 에어로졸은 장거리 수송을 통해서 동아시아뿐 아니라 북미지역에까지 영향을 주고 있다.

○ 따라서 동아시아 지역에 대한 에어로졸의 생성과 시간 및 공간적 분포에 대한 관측과 정량화는 에어로졸 발생원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데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에어로졸과 전구물질을 정량화하여 파악하려면 지표면의 영향을 받지 않는 자유대류권에서의 수직분포에 대한 관측이 가장 중요하다.

○ 이를 위해서 관측위성, 항공기, 기구나 라디오존데 등을 이용하여 원격 관측이 효과적이지만 장기간에 걸친 시계열 자료를 입수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고소산악 지역에서 고정관측 장비에 의한 장기간 관측으로 고도별 장기간의 시계열 자료를 채취하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

○ 이 글은 일본 후지산 정상에서 에어로졸과 전구물질, 미량기체를 관측 수집하면서 고소 산악지역의 정상부근은 지표면의 영향을 받지 않는 자유대류권역과 유사한 대기조건임을 밝히고, 다만 계곡풍 등의 영향을 배제해야 하는 과제도 있음을 보여준다.

○ 우리나라도 한반도 상공의 대기흐름을 입체적으로 관측하기 위해 고층 관측망을 확충하고 있어서 고도별 상세 기상관측용 장비를 확대 설치하고 있다. 고소 산악지역은 소백산 등에서 관측하고 있으나 지상 고도 3㎞를 넘는 지역이 없어 상공의 상세관측에는 애로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모델시뮬레이션을 강화하고 있는데, 중국이나 일본 등 인접국가와의 기상자료 교환시스템을 강화해 나가는 것도 방법이 될 것이다.
저자
Yasuhito IGARASH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24(2)
잡지명
エアロゾル硏究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90~96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