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의 전이 기전
- 전문가 제언
-
○ 악성 암세포가 일차적인 종양부위에서 다른 곳으로 옮겨가는 전이는 암환자의 중요한 사망원인이며 치료에서도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암 전이의 캐스케이드(cascades)를 살펴보면 여러 가지 분명한 단계를 거치며 분자와 세포수준의 기전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에는 상피-간엽세포 전환(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EMT), 침입(invasion), 아노이키스(anoikis), 혈관생성(angiogenesis), 혈관을 통한 이동, 그리고 이차적인 장소에서 종양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알고 있다.
○ 이 리뷰에서는 이러한 전이 캐스케이드에 추가해서 전이가 되기 전에 전이가 될 수 있는 적소(premetastatic niche)가 필요하며 줄기세포와 같은 성질을 가진 세포(암 줄기세포), 종양스트로마의 역할, 종양세포와 전이부위 세포의 주변 분비 상태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
○ 보건복지부 자료에 따르면 암 환자의 수는 증가 추세에 있고 일차적인 암은 수술에 의한 치유가 가능하나 암이 다른 부위로 전이되면 수술이 거의 불가능하고 사망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그동안 암 연구는 암 억제유전자의 탐색과 발현조절에 집중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전이가 암 치료에 가지는 의미와 암 전이 억제유전자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 암은 암유전자에서부터 암 줄기세포, 암의 미세환경 그리고 전이까지 이루어지는데 암유전자가 세포를 암세포로 만들 뿐 아니라 침입하고 자체재생에까지도 관여하고 멀리 유포된 세포의 재생과 적절한 적소를 찾아 새로운 환경을 만들고 혈관생성과 다른 세포에 미치는 다양한 소통과 종양과 숙주 간 상호작용에도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가 의문이다. 발암의 기전과 전이의 캐스케이드를 이해하는 것만이 치료를 위한 전제조건으로 생각한다.
- 저자
- Thomas R. Geiger, Daniel S. Peeper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9
- 권(호)
- 1796
- 잡지명
-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BBA) - Reviews on Cancer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293~308
- 분석자
- 강*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