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WBAN 구현 기술의 조사 및 전망

전문가 제언
○ IT융합 기술은 고부가 가치화, 신산업 창출,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한 전통산업과 정보통신 기술의 융합 기술로서 이의 연구개발은 세계적인 추세다. 특히 u-healthcare 등의 IT의료 융합 기술의 연구는 일본, 미국, 유럽연합, 싱가포르 등의 국가들에서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다.

○ 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2015년에는 1000만 명 이상이 u-healthcare 서비스를 이용, 2조3000억 원 이상의 시장을 형성할 전망이다. 세계적으로도 u-healthcare 시장은 연평균 20% 이상의 고속성장을 하고 있으며 2010년에만 3800억 달러(437조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 지식경제부는 2010년 2월 IT를 의료 분야에 접목하여 원격진료와 건강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케어 서비스’ 시범사업자로 2개의 컨소시엄을 선정하고 2012년까지 3년 동안 추진한다고 발표하였다. 스마트케어 서비스의 일차적인 목표는 가정에 진단 단말기를 설치하는 `재택건강관리시스템'이다. 그 외 삼성전자, LG전자, SK텔레콤, ETRI 등도 u-healthcare 기기, 기술 및 서비스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 WBAN은 스마트케어 서비스보다 일보 전진된 건강관리 및 사고 방지용 `생체정보 기반 웨어러블(wearable) 시스템'으로 바이오 기술(BT)과 정보통신 기술이 섬유 기술과 결합된 또 다른 형태의 융합기술이다. 또한 WBAN 기술은 생체정보를 이용한 인지 기반 맨-머신 인터페이스 분야로 응용될 수 있어 기존의 터치 기반 인터페이스 방법을 획기적으로 대체하는 큰 파괴력을 내포하고 있다.


○ 한국정부와 기업들도 발전하는 u-healthcare 기술의 참여와 신시장의 창출을 위하여 장기적인 차원에서 WBAN을 위한 인체 호환형 센서, 근거리 저전력 무선통신 기술, 스마트 폰 등을 이용한 인체 데이터 라우팅 기술, 외부 인프라와의 네트워크 기술 등의 원천기술 개발과 서비스 시스템 및 사업 모델 개발의 창출에도 힘을 기울여야 하겠다. 이를 통하여 최근 형성된 WBAN 표준 기구인 IEEE 802.15.6에서의 활동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저자
Huasong Cao and Victor Leung, Cupid Chow and Henry Cha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09
권(호)
47(12)
잡지명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84~93
분석자
K*M CHONG TAE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