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성자를 이용한 창약표적단백질의 입체구조 해석
- 전문가 제언
-
○ 단백질의 결정구조 해석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X선이나 중성자에 의해 결정회절을 이용하여 산란강도를 늘이는데 중성자는 원자핵에 의해서 산란의 크기가 원자의 종류에 따라서 결정되기 때문에 각각의 해석에 특징적인 정보를 얻을 수가 있다.
○ 중성자를 이용한 결정구조 해석은 그 특성상 단백질의 수소원자를 포함해서 대부분의 원자의 관측이 가능하다. 특히 단백질에 있어서 분자인식이나 화학반응의 메커니즘의 해명에 있어서는 수소원자를 관측하는 의미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 한 가지 예로서 항 HIV약의 표적분자인 HIV Protease와 천이(遷移)상태의 Analog로서 설계된 저해제와의 복합체의 중성자 결정구조 해석 결과를 보면 새로이 관측된 촉매잔기와 저해제와의 상호작용 양식은 촉매 메커니즘의 해명이나 보다 저해활성이 높은 의약품 후보분자의 설계에 매우 유용한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
○ HIV Protease에 대한 저해제 개발에 관해서는 매우 많은 연구가 보고되고 있으며 촉매 메커니즘에 관한 학설도 다수 존재한다. 촉매 메커니즘을 결정하는 것을 학술적인 중요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효과적인 저해제 개발에도 연결하게 된다.
○ 이와 같은 성질을 가진 중성자를 이용해서 창약(신약 개발)표적 단백질의 입체구조 해석을 수행함으로서 보다 획기적인 표적단백질의 입체구조 해석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우리나라의 제약기업을 비롯하여 역전사효소(逆轉寫酵素)에 관심을 가진 연구자에게 표적단백질의 입체구조 해석을 X선에서 끝내지 말고 되도록이면 중성자를 이용할 것을 권유한다.
- 저자
- Motoyamasu Adach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0
- 권(호)
- 55(1)
- 잡지명
- 蛋白質?核酸?酵素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82~87
- 분석자
- 최*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