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단순포진 1형 바이러스의 외피 단백질의 기능적 역할

전문가 제언
○ 허피스 바이러스는 숙주 범위가 대단히 광범위한 특성을 갖는다. 질병 양상도 다양하며 여러 종류의 세포에 잠복하여 장시간 존재한 후에 재발한다. 근래에 노약자, 장기 이식자, 면역결핍인 등에서 바이러스 자체의 재발현에 의하여 심각한 질병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 특히 허피스 바이러스의 다수는 생활환경과 연관되어 질병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다. 허피스 바이러스 중의 하나인 EB 바이러스는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별 문제가 되지 않았으나 점차적으로 선진국에서와 같이 감염 연령이 늦어짐에 따라 감염성 단핵구증의 발병이 증가되고 상대적으로 질병도 위중한 경우가 많다. 아직까지 사람에서 직접적으로 암을 유발하는 것이 확인되고 있지는 않으나 그 가능성을 배제할 수가 없다.

○ 허피스 바이러스 중에는 HSV-2, 사이토메갈로 바이러스 등 체액을 교환함으로써 전파되어 이에 대한 예방책이 요구된다. 다수의 허피스 바이러스가 성매개 질환으로서의 그 중요성이 점증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 현재 의료 기술의 발전에 따라 대상포진, 사이토메갈로 바이러스 등에 대한 항바이러스 물질의 수요는 급증하고 있다. 현재까지 허피스 바이러스에 대한 치료 물질들은 DNA 복제를 저지시키는 물질들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들 물질들은 독성이 높고 저항성 바이러스주의 출현이 높은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인 항바이러스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 본 분석물에서 다루는 허피스 바이러스의 외피(tegument) 단백질들은 바이러스의 핵 내 이동, 막의 제거 및 외막의 형성, 바이러스의 조립, 구성 성분 간의 연결 등에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들 단백질을 저지시키는 효과적인 물질을 개발할 전략이 필요하다.

○ 이러한 물질의 개발을 위하여 보다 집중적인 연구 개발 팀의 형성과 효율적인 연구 활동에 대한 지원이 절실히 요구된다.
저자
Barbara J. Kelllly,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9
권(호)
145
잡지명
Virus Research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73~186
분석자
신*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