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에너지소비, 배기가스 및 비용
- 전문가 제언
-
○ 미국 자동차기술자학회 추천사례 SAE J1711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독특한 사이클로 운전할 때 배기가스 표준에 관한 연료소비와 탄소배출 계수의 계산을 위한 전 세계적 방법론이 아직 확립되지 않았다. 이 글은 자동차 기술 간의 공정한 비교를 목적으로 전기배전망 영향과 CO2 수명주기 배출가스에 대한 통찰력을 주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 이 방법론을 두 가지 다른 파워트레인 구성인 직렬 및 병렬, 여러 다른 주행 사이클, 다른 주행거리(특히 일일 평균 20㎞ 통근거리를 분석)에 적용하였다. 연료 소비량, 전기발전 및 well-to-wheel까지를 위한 CO2 배기가스를 계산하였다.
○ 국내에서는 서울대학교의 노철우 등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연료 경제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PHEV60-FS가 휘발유 가격이 올라갈 때, PHEV20은 전기요금이 올라갈 때 가장 안정적인 경제적 타당성을 보여주었다.
○ 미국 평균 전기를 사용하여 매 20㎞ 또는 그 이하에서 자주 충전하였을 때 작은 용량의 PHEV가 하이브리드자동차(HEV)나 기존의 휘발유 자동차보다 덜 비싸고 더 적은 CO2가스를 배출한다. 20-160㎞의 적당한 간격 충전에서는 PHEV가 적은 CO2 가스를 배출하지만 HEV의 수명주기비용이 더 낮다.
○ 주행거리 64㎞ 또는 그 이상 크기의 전기만으로 주행하는 대용량 PHEV는 어떤 운전자에게는 CO2 배출가스를 최소화하고, 대기오염 배기가스를 인구밀집지역에서 멀리 옮기지만 어느 시나리오에서도 수명주기비용이 최저가 되지 않는다.
○ 고 휘발유가격, 저비용 배터리 또는 저탄소 전기발전과 조합한 고 탄소 세금이 다양한 주행거리의 운전자에게 소 용량의 PHEV를 비용경쟁력이 있게 만든다. 경제적, 환경적 및 국가안보적 목적을 감안할 때 자주 충전하는 도시운전자의 소 용량 PHEV를 채택한다면 가장 효과적이다.
- 저자
- Carla Silva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9
- 권(호)
- 50
- 잡지명
-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635~1643
- 분석자
- 신*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