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한 pH 폐수의 습지처리
- 전문가 제언
-
○ 우리나라 습지 농장조성 사업으로는 새만금으로 유입되는 익산천과 유천?요암천?삼천 등 4개 하천을 자연형태로 조성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의 사업목적은 새만금의 수질을 개선하고 시민들의 휴식 공간을 제공하는 데 있으며, 사업비는 국비?지방비 등 총 722억을 투입하여 2011년까지 3년에 걸쳐 추진할 계획이다.
○ 습지 조성에는 국내 및 국제적 수준의 광범위한 법률과 정책이 적용되며 이의 목적은 농업생산물의 오염으로 인해 발생되는 물 공해 위험을 관리하고 경감시키는 데 있다. 최선의 관리 활동(BMP: Best Manage- ment Practies)은 오염원의 관리 범위를 정하여 더러운 물을 채집하고 처리하는 등의 처리교육을 통한 농장 배수관리를 하는 것이다.
○ FCW(Farm Constructed Wetlands)를 포함한 습지는 매력적인 미학적 표현을 할 수 있다. 물의 조화에 의한 식물의 성장 및 야생의 조화는 미래를 돋보이게 하는 기본 요소가 된다. 이러한 습지는 세계에 많은 사례가 있다. FCW의 미학적인 표출은 육지 형성 설계를 통하여 확실하게 최대화할 수 있으며 또한 건축에 의해 더욱 충족될 수 있다.
○ 습지에 축적된 침전물은 유입수로부터의 유기물질과 고사한 식물질 및 침전된 광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거된 물질의 가장 적절한 관리 방법은 BMP에 따라 농지에 뿌리게 한다. 고형분 함량과 영양성분에 대한 정보에서 특히 인의 경우는 농장 영양관리와 연계되므로 사용 승낙이 필요하다.
○ 본고에서 습지처리에 채택된 미생물 및 화학적 프로세스는 석탄 채광 배수 오염처리에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pH 4 이하 산성수의 습지처리 실패는 느린 Fe 가수분해와 약간의 생물군에 의한 금속농도 상승으로 알칼리 생성이 불충분한 경우다. 산성 습지로부터 실패 징후는 황산염의 환원이었고, 이는 초기 호기성 습지 조건에서도 퇴비화 습지에서 금속 제거와 알칼리 생성을 보였다.
- 저자
- W.M. Mayes, et.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9
- 권(호)
- 407
- 잡지명
-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944~3957
- 분석자
- 홍*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