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청정가스 공급망의 적정화

전문가 제언
○ 네덜란드는 바이오가스 공급이나 생산을 계획해 왔지만, 가스 공급망의 전반적 조사가 아직 없으므로 가축분뇨와 생물의 생산가스를 바이오 가스로 공급망에 주입하는데 단계적 문헌조사를 했다. 설비수준(세부수준)과 이용 가능한 생물의 대략적 지식(개략수준)은 얻었지만 중간단계(가스공급)에 대해서 연구가 별로 없다.

○ 청정가스 생산은 중앙집중식이나 분산식으로 할 수 있다. 집중식은 생산단가는 저렴하지만 재료나 생산가스 수송 및 중간 저장비용이 추가로 발생한다. 분산은 시설 분산으로 인한 생산단가는 약간 높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낮아지고 수송비용이 적게 들고 필요지역에 직접 공급할 수 있어 유리하다. 각 방법마다 수송과 저장비용의 발생규모를 산출할 수 있다.

○ 네덜란드의 포부는 2020년까지 8.12%, 2030년까지 15.20%, 2050년에 50%까지 청정가스 비율을 높일 것으로 계획했다. 에너지는 점점 다양화하고 가스로 전환하는 추세다.

○ 우리의 김포 매립지 가스는 792,000㎥/일(550㎥/분)로 네덜란드 전체보다 많고 이로써 50MW 가스(메탄, 50%)발전시설을 가동(2006.12, 18만 가구사용, 451억 원/연)하며, 음폐수 가스는 25,000㎥/일(17㎥/분)로 소화 조 가온 보일러, 사무실 냉난방, 온실 난방용으로 이용하고 부수적으로 메탄올 대체한다. 이를 CDM(Clean Development Mechanism, 청정개발체제)으로 유엔에 등록했으며(2007.4.) CO2 121만 톤으로 폐기물 분야에서 세계 최대다.

○ 그러나 우리의 바이오가스 생산은 지극히 국부적이고 기업에 국한하며 천연가스 대체계획도 없어서 가스 공급망에 연결한다는 것은 생각할 수 없다. 다만 기업별로 자가소비 가스를 대체하는 효과에 그치며 열 병합발전 정도다.
저자
J. Bekkering, A.A. Broekhuis, W.J.T. van Gemert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101
잡지명
Bioresource 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450~456
분석자
곽*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