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생물의약품 현황과 전망:완화 유도 및 지속을 위한 최근 면역치료법

전문가 제언
○ 분자 면역학에 있어서 새로운 수단들이 급속히 개발되고 진전되어 “생물의약품” 또는 “면역치료법“이라 불리는 약품 부류가 생겼다. 이 치료법이 효과는 있는 반면, 치료에 비용이 많이 들고 계속 투여해야 하며 가끔은 부작용이 심하다. 여기서는 현재의 치료법들과 새 치료법 부류에 대해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 자가면역의 면역요법에서는 기존 치료법으로 접근이 어렵고 가끔 개발을 가로막는 몇몇 도전단계가 있는데 첫째, 선도물질 식별 및 확인, 둘째, CMC(cell-mediated cytolysis/cytotoxicity), 사람 아닌 종에서 독성과 약효의 증명, 셋째, 임상적 개발품, 특별히 결과물과 생체표지들이다.

○ 자가면역 발병 기작과 관련된 개발목표로 T세포 백신, 항원결정기-특이 면역요법, 인간질병 무발병인자-특이(nontrigger-specific) 면역요법 등이 개발되고 있고 류머티즘 관절염에서 hsp E. coli dnaJP1는 IL-10 증가와 TNFγ 감소가 뚜렷하고 T세포 반응들이 처리 간 차이가 있어 dnaJP1가 새로운 치료제로 개발될 가능성이 고무적이었다.

○ 류머티즘 관절염에 대한 보조제 관련 국내연구는 40여 편이 보고되고 있는데 사이토카인 관련 연구도 다수 있었다.

○ 앞으로는 항사이토카인 요법이나 관절염성(arthritogenic) 펩타이드(hsp60 p180-188)를 치료약제와 함께 처방하는 복합요법(combination therapy)이 비용상 저렴하고 보다 효과적이라는 생각으로, 환자 소집단들에 적합하도록 내성(tolerance)을 유도하고 약제의 계속 투여 없이도 효능유지를 가능케 하는 새로운 맞춤약제들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저자
Willem van Eden, Jeffrey Lisse, Berent Prakken, Salvatore Alban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15(1)
잡지명
Drug Discovery Toda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71~77
분석자
김*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