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품방어의 현상과 과제

전문가 제언
○ 식품안전은 지금까지 기본적으로 안정적인 먹을거리(양과 질)를 확보하는 Food Security(식품 안전보장)와 식중독, 식품첨가물, 잔류농약, GMO식품 등 비의도적 오류를 관리하는 Food Safety(식품안전) 2가지 관점에서 논의되어 왔으나, 선진국에서는 Food Defense(식품방어)를 부가하여 3가지 관점에서 거론하게 되었다.

○ 그 이유는 2001년 9.11테러 이후 사회불안을 조성하려는 테러리스트들의 Bio-terror, Agro-terror 등 의도적인 이물 혼입이나 오염 및 위협에 대한 식품의 안전관리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 WHO는 2002년 ‘식품 테러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설정하였고, 미국은 2002. 6. 12 바이오 테러리즘법 제정, FBI, DHS, USDA 및 FDA도 식품방어를 위한 취약성 평가 수법인 'CARVER+Shock 분석'을 바탕으로 조직적인 대처(SPPA: Strategic Partnership Program Agroterrorism 등)를 하고 있으며, EU권에서도 바이오 테러의 위협에 대처하고 있다.

○ CARVER+Shock 분석법은 식품 공급 사슬에서 테러범이 테러대상으로 삼는 매력도를 7개 항목-Criticality(위험성), Accessibility(접근 용이성) Recuperability(회복용이성), Vulerability(취약성), Effect(영향), Recognizability(인식용이성) 및 Shock(충격도)별로 점수화한 평가이다.

○ 일본도 2007. 12~ 2008. 1월에 발생한 중국산 냉동 만두의 고농도 유기인 살충제 혼입 사건 이후, 의도적인 식품테러에 대비하지 않을 수 없었다. 2008년 11월 미국에 20명의 식품위생안전 조사단을 파견한 바 있고, CARVER+Shock 분석법을 도입하여 일본 실정에 맞게 ‘식품공장의 인위적인 식품오염 방지를 위한 체크리스트’를 작성, 지역의 건강 피해나 긴급사태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예; 일본생협의 Coop-net)을 갖추고 있다.

○ 식품안전에 있어 HACCP나 ISO22000의 전제 조건인 안전성의 확인에 인위적인 식품방어의 관점(CARVER+Shock분석법)을 부가한다면, 식품 테러에 대한 방어는 물론 식품위생관리 수준도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저자
Manabu Akahane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9
권(호)
59(9)
잡지명
食品衛生硏究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7~13
분석자
최*욱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