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도시의 토양, 도로먼지 및 농작토양의 중금속 오염
- 전문가 제언
-
○ 이 논문에서의 연구결과는 중국 도시들의 중금속 오염수준이 매우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중국 도시의 도로먼지 경우는 Cu, Zn, Cd의 농도가 대부분 최대허용농도(PTEMPC)를 초과하였고, 농작토양의 경우도 Cd와 Hg의 농도 역시 일부 도시에서는 PTEMPC를 초과하였다. 약 65% 이상의 중국 도시들이 도시토양과 도로먼지에서 높은 오염수준 또는 매우 높은 오염수준을 보이고 있다.
○ 중국 도시들의 다양한 오염원들로 인한 도시토양 및 농작토양의 중금속 오염은 인명 및 질병에 대한 잠재적인 위험이 크기 때문에 국제적으로도 최근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 최근 한 연구에서는 South China Dabaoshan 광산 인근 마을들을 대상으로 심각한 수준으로 오염된 토양과 곡물에 관한 Cu, Zn, Pb와 Cd의 중금속 농도를 조사하였다. 중금속으로 오염된 쌀과 채소를 소비하는 지역주민들이 심각한 질병 위험에 직면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 중국 농작토양에서 특히 Cd의 오염도가 높게 나오는 현상은 중국에서 최근 10년간 농작물의 생산성을 높이고자 대량의 화학비료를 사용한 결과이다. 즉 인산염계 화학비료의 사용량 증대에 따른 농업수질 및 토질이 급격히 나빠지는 현상이다. 역시 Hg 및 As의 오염도 화학비료를 광범위하게 사용한 결과에서 그 오염원을 찾을 수 있다. 우리나라는 토양의 오염 방지를 위해 1996년 1월부터 토양환경보전법이 시행되어 토양오염 우려기준을 초과하는 지역에 대해서는 시정명령, 오염토양개선사업 등을 통해 이전 상태로 복원하도록 강제하고 있다.
○ 이 글에서 특기할 사항은 Beijing이 급격하게 발전하는 도시이고, 인구가 천만 명이 넘고, 자동차가 백만 대가 넘는 대도시이면서도 중금속 오염수준은 IPI 1 이하로 중국 도시들 중 최소 수준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 들어 중국 정부도 중국의 환경오염에 대한 심각성을 인식하고 대대적인 환경대책을 강구하고 있다. 지속적인 중국 정부의 환경대책 및 중국의 중금속 오염 환경에 관련한 새로운 정보에 계속 주목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Binggan Weia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94(2)
- 잡지명
- Microchemical Jour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99~107
- 분석자
- 나*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