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하수자원의 활용극대화
- 전문가 제언
-
○ 도시쓰레기 처리에 대한 꾸준한 연구와 활용방안을 위한 기술개발이 진행되면서 ‘쓰레기는 폐기되어야 한다’는 고정관념은 대체자원으로 재활용할 수 있다는 새로운 인식으로 바뀌고 있다. 특히 에너지로의 회수와 이에 새로운 수자원의 개발과 같은 에너지 및 자원의 확보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도시하수의 재활용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 현재 물 부족은 건조지역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계속적인 인구증가, 생활수준의 향상, 기후변화, 산업화, 농업 및 도시화로 인하여 물자원의 한계를 초래하고 있다. 국제연합의 예상에 의하면 2050년까지 세계는 20억에서 70억 인구가 물 부족에 직면한다. 오늘날에도 약 80개국에서 전 세계인구의 20%가 심각한 물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 본고에서는 최근의 환경과 관련된 집중형과 분산형 시스템에 대한 개념을 상세히 기술하고 있다. 최근의 분산형과 집중형 폐수처리 시스템의 실천사항을 검토하였으며, 집중형 폐수에 기초한 새로운 폐수처리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 재래식의 활성슬러지 공정은 미세여과법(MF)/한외여과법(UF) 및 역삼투법(RO)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의 하수처리 비용은 약 ?0.793/m3이지만 질소와 인은 일반적으로 폐기된다. 새로운 하수처리의 핵심은 가정에서 또는 물 처리공장에 도착하기 전에 폐수의 농도를 높여 폐수 내의 각 성분에 대한 분류와 에너지 및 비료로의 회수에 대한 가능성을 가지게 하는 것이다.
○ 건의 사항으로 폐수처리공장에 도착한 높은 농도의 도시하수 배출수에 포함된 모든 유기물질의 농도화이다. 이는 다음 세대에 부딪힐 새로운 도전에 대한 기술과 경제성에 대한 확고한 인식을 가지는 것이다.
- 저자
- Willy Verstraete, Pieter Van de Caveye, Vasileios Diamanti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9
- 권(호)
- 100
- 잡지명
- Bioresource 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5537~5545
- 분석자
- 손*권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