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21세기를 맞는 중국의 에너지 현황

전문가 제언
○ 중국은 급속한 경제 성장에 따라 연평균 9% 이상의 에너지 소비증가율을 기록하고 있다. 에너지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공급을 확대하고 에너지 절약을 강화해야 하는 상황이다.

○ 특히 중국의 전원에너지는 석탄 위주로 되어 있으며 일부 전력 수요를 수력이 담당하고 있다. 급증하는 전력수요 증가를 충당하지 못하고 있어 전력 공급이 국가적인 과제로 되어 있으며 앞으로 더 많은 발전소를 건설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기후변화협약과 국제사회의 온실가스 감축 요구에 부응하고 석탄 연소에 따른 대기오염과 환경보호 문제를 고려하면 더는 석탄발전소를 건설하기 어려울 것이다.

○ 한편 중국은 석유 생산량도 부족하여 2006년부터 석유를 수입하고 있으며 매년 석유 수입량이 급증하고 있어 이 문제도 국가적인 과제가 되고 있다. 재생에너지 개발 잠재력은 충분하지만 비용과 기술 및 기타 여러 가지 요인들 때문에 아직까지 재생에너지 개발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 중국은 앞으로의 에너지정책을 원자력과 재생에너지 개발에 기댈 수밖에 없을 것이다. 따라서 2006년에 재생에너지법을 제정하고 2009년부터 순환경제촉진법을 시행하면서 재생에너지 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고 원자력의 경우도 2030년까지 120에서 160GW의 발전용량을 달성한다는 야심찬 목표를 세우고 있다.

○ 우리나라의 경우도 녹색성장 전략과 추진계획을 세워 재생에너지를 개발하고 있고 원자력 수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데 중국은 원자력과 재생에너지 기술을 수출할 수 있는 거대 시장으로서의 가능성이 높다.

○ 이 자료는 중국의 에너지 자원과 소비현황에 대하여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고 특히 재생에너지 개발의 필요성과 재생에너지와 관련된 중국의 법과 제도 및 규제에 대하여 검토하고 있어 우리에게 좋은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저자
Hengyun Ma, Les Oxley, John Gibso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9
권(호)
13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781~1799
분석자
신*성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