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DO 프로그램-마그네슘 단조품 기술개발 프로젝트
- 전문가 제언
-
○ 마그네슘합금은 비중이 철의 1/4.5, 아연의 1/4, 그리고 경량화 합금의 대표 격인 알루미늄의 2/3 정도로서 실용합금 중에서 비중이 가장 작고 비강성이나 비강도가 좋아 자동차와 항공기 등의 경량부품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수송기관의 에너지 절약과 고성능화 그리고 CO2 삭감과 환경개선 문제 등과 같은 사회적 요청에 대해 보다 가볍고 강한 마그네슘합금이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마그네슘에 희토류 원소(La, Ce, Nd, Gd)와 같은 용질 합금원소를 첨가하면 바닥면 슬립과 비바닥면 슬립과의 임계 전단응력의 차이를 줄여 마그네슘의 가공성을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마그네슘합금의 실용화 측면에서 마그네슘과 희토류 원소와 같은 고품질의 원료를 낮은 가격에서 대량으로 안정하게 공급받을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 철강재를 AZ31B 합금으로 대체할 경우 마그네슘합금의 판 두께를 약 1.6배 두껍게 하면 철강재와 동일한 굽힘 강성을 지니게 되며 약 50%의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합금을 AZ31B 합금으로 대체할 경우 마그네슘합금의 판 두께를 약 20% 정도 두껍게 하면 알루미늄합금과 동일한 강도를 지니게 되며 약 30%의 질량감소가 예상된다.
○ 마그네슘합금의 자동차 경량소재 실용화가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마그네슘합금의 낮은 용융점, 낮은 기화점, 산소와의 빠른 친화력, 취약한 금속간 화합물의 생성 등 용접가공에 제약을 주는 요소들을 해결하고 일정수준의 용접성을 지니도록 하는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 향후 학술적인 측면에서 마그네슘합금의 단조가공 시 미세조직의 형성과 변형발생에 대한 메커니즘이 규명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단조소재의 조직?구조해석과 컴퓨터 과학의 양면에서 추진이 필요하다. 또한 단조가공 된 마그네슘합금 부품의 응용확대를 위해서 정적강도 특성, 피로강도, 파괴인성, 내식성 등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 저자
- Kenji Higash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9
- 권(호)
- 59(10)
- 잡지명
- 輕金屬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576~588
- 분석자
- 김*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