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면역질환과 RNA
- 전문가 제언
-
○ 면역시스템은 인간의 생존에 필수적인 것으로 면역기능이 약간만 떨어져도 쉽게 감염에 노출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면역시스템 자체가 잘못되어 자신의 장기, 조직이나 세포를 공격하게 되면 질병을 일으킬 수 가 있다. 이러한 자가면역질환은 아직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그 수가 더욱 증가하고 있다.
○ 자가면역은 여러 가지 생리적 부조화가 원인이 되어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자가면역반응은 여러 조직에서 동시에 일어나거나 또는 한 장기만을 표적으로 하여 일어나거나 한다. 지금까지 전신성홍반성낭창, 관절염, 중증근무력증, 피부경화증, 다발성근염, 악성빈혈, 강직성 척추염, 혈관염 등 80여 종의 자가면역질환이 발견되고 있다.
○ 자가면역질환의 대부분이 건강한 체세포에 대한 면역시스템의 직접적인 공격에 의해 일어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이 질환의 원인은 정상세포를 공격하여 파괴하는 면역시스템의 T-세포와 같은 면역세포파괴와 또 하나는 어떤 세포상에 있는 수용체를 자극하는 항체인 항체자극이다.
○ 자가항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리보핵단백질(RNP)은 물론 miRNA도 자가항체의 타겟이 되고 있는데 이들 항원이 어떤 조건 하에서 자가항원으로 되는지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항원 자체의 구조나 기능의 변화는 물론 이를 타겟으로 하는 면역세포의 반응조건과 함께 이때의 면역시스템이 작용하는 세포질의 환경조건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그 메커니즘을 밝혀내야 하며 이는 자가면역질환뿐만 아니라 앞으로 암까지도 치료할 수 있는 열쇠가 될 것이다.
- 저자
- Mimor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9
- 권(호)
- 54(16)
- 잡지명
- 蛋白質?核酸?酵素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2233~2238
- 분석자
- 백*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