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소공정에서 미량성분 함유 미립자의 생성거동과 노내 흡수기술
- 전문가 제언
-
○ 연소공정에서 발생하는 배출가스 성분은 보일러, 연소로, 내연기관 등의 연소기 종류와 공기 및 연료의 혼소, 연소실 조건과 연소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배출되고 있다. 배출가스의 주요 성분은 질소, 이산화탄소, 물, 산소 등이 있으며 미량성분으로는 CO, NOx, SOx, HC 등과 미량의 중금속이 있는데 이들 미량성분은 연소조건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 최근에는 다양한 연소공정에서 배출되고 있는 미량성분이 대기오염과 환경보호 측면에서 국제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그러므로 각종 연소공정에서 생성되는 미량성분을 함유한 미립자(PM: Particulate Matter)의 생성메커니즘과 열역학적 평형이론, 이에 대한 반응속도론을 연소실험을 통하여 규명하고 이들 미량성분을 제어하고자 하는 연구가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 배출가스 중의 유해가스나 염화수소,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미량 유기화합물 및 중금속과 같은 유해물질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발생가스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연소실의 공기공급을 제어하는 방법, 소각로와 보일러의 구조를 유해가스 발생이 최소화 하도록 제조하는 방법, 반응제를 슬러리 건조분말상태로 투입하여 산성 유해가스와 중금속 등을 흡수 또는 흡착 중화시켜 처리하는 방법 및 알칼리 반응제를 포함한 흡수액과 배출가스를 접촉시켜 유해가스나 중금속을 중화하는 방법 등이 있다.
○ 우리나라에서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등에서 산업 배기가스 중의 유해가스와 유해물질 배출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정부도 환경규제 측면에서 대처하고 있다. 특히 화력발전소의 NOx 및 SOx 배출은 민원의 소지가 있어 이들 가스의 배출을 억제하기 위한 연구가 강화되고 있으며 현재는 상당한 연구 성과를 이룬 것으로 발표되고 있다. 배기가스의 정화는 주위 환경의 위생뿐만 아니라 지구환경을 위해서도 꾸준한 연구와 대책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I.Narus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9
- 권(호)
- 46(5)
- 잡지명
- 工業加熱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31~37
- 분석자
- 오*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