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지붕 강우유출수의 오염특성
- 전문가 제언
-
○ 우리나라의 지붕 강우 유출수는 수질 및 집수 측면에서 시행해 왔고, 건축물 녹화지붕의 빗물 유출수도 연구하지만, 국가적으로 광역 비점오염원 관리 측면에서 도로와 주차장 등의 강우 유출수 원단위 연구(한국물환경학회지 2009. 9.)도 한다.
○ 지붕 강우 유출수는 개별 주택에서 양적 유용성이 적기 때문에 아파트, 주거, 산업단지의 개발이나 재개발 시에 중수도(中水道)와 홍수?침수 저감용의 효율적 집수관리 시스템으로 설계?사용해야 한다.
○ 주거단지의 지붕 강우 유출수는 조경, 화장실, 세탁, 청소, 텃밭 등의 중수도로 이용할 수 있지만, 대단지의 지붕 강우 유출수는 하류의 홍수와 침수를 저지?저감시키도록 설계해야 한다.
? 한국은 아열대 몬순지역의 산악 국가이므로 호우나 폭우 때 70% 산지에서 30% 평지의 3~5%의 하류지역으로 빗물이 집중되어 홍수와 침수가 빈번하고, 11~4월에는 가뭄이 반복되므로, 호우에 주거와 산업 단지의 빗물을 저류했다가 가뭄에 소하천 유지용수로 이용하여 소하천, 지류, 지천의 환경생태 보전?개발에 활용해야 한다.
? 주거와 산업 단지 건설 이전의 비산업화 시대에는 논이 홍수와 침수를 저지했다. 논은 자체가 200~250mm 강우를 저류하고 논 면적에 상당하는 호우 대비작용을 하므로 환경기상학적 리스크를 환경생태학적으로 적합화 하는 환경적?생태학적 역할을 해 왔다.
○ 주택, 주거, 도시, 산업단지는 우리나라에서 거의 논에 건설하지만, 논의 환경생태학적 역할을 도외시하고 이에 대한 보완?보충 대안을 마련하지 않아서 기후온난화와 이상기후로 인한 호우와 폭우 대비책이 미흡하다. 단지를 건설할 때 지붕, 도로, 주차장, 운동장, 마당 등의 강우유출수를 함께 저류하여 적절히 활용하는 지하?반지하 물탱크(cistern) 기술개발과 응용이 필요하다.
- 저자
- Dennis J. Ly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9
- 권(호)
- 407
- 잡지명
-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5429~5434
- 분석자
- 김*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