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수소저장을 위한 B-N 화합물

전문가 제언
○ 청정 연료인 수소를 자동차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수소를 높은 중량 및 부피저장밀도로 저장할 수 있어야 한다. 수소를 내연기관의 연료로 직접 사용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가능하지만, 현재는 연료전지의 연료로 사용해서 전기를 생산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이다.

○ 수소를 다공성 물질 내에 흡착시키거나, 수소가 화학적으로 결합된 수소화물의 이론적 저장용량은 액체수소보다도 높기 때문에 미국 에너지부는 이를 바탕으로 2015년까지 자동차용 수소 연료의 저장목표를 부피용량은 9.72MJ/L, 중량용량은 9wt%로 각각 설정하였는데, 아직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에는 기술적 장벽이 너무 많이 도사리고 있는 실정이다.

○ 이 글은 University of Bristol의 I. Manners 그룹이 화학적 수소저장물질 중에서 특히 앞으로 실용화가 유망한 B-N 화합물과 관련된 수소저장기술 현황을 방대한 참고자료와 함께 소개한 리뷰논문을 필자가 간략하게 요약한 것이다. 저자들은 방대한 종류의 B-N 화합물에 대한 최근 수소저장기술 연구동향을 비교적 체계적이고 자세하게 소개하였다는 것이 이 리뷰를 자세히 읽고 난 소감이다.

○ 우리나라도 KAIST를 중심으로 수소저장물질에 대한 연구가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지고는 있지만, 주로 금속 유기물 골격(MOF) 내 수소를 저장하는 연구에 편중된 경향이 있다. 그러나 수소저장은 저장방법에 따른 장?단점들이 있다는 점에서 한 분야에 연구가 집중되는 것은 위험하다고 판단된다는 점에서 이 분야에 관심 있는 이들이 이 요약 글과 함께 본문을 일독하기 바란다. 단, 본문 내용 중 인용된 자료의 번호가 일치하지 않거나, 참고자료의 서지사항들이 일부 오류가 있다는 점은 옥의 티라고 할 수 있겠다.
저자
Charles W. Hamilton,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9
권(호)
38
잡지명
Chemical Societ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79~293
분석자
이*웅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