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플렉시블 메모리

전문가 제언
○ 플렉시블 전자 디바이스의 응용에 있어서 메모리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따라서 저온 용액 프로세스에서 플라스틱 기판 상에 제작할 수 있는 유기 메모리에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본 문헌에서는 강유전성 메모리를 중심으로 유기 메모리에 관한 연구개발 동향과 인쇄가 가능한(printable) 플렉시블 메모리의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 플라스틱 재료는 내열성이 떨어지므로 현재의 고온의 실리콘 기술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 때문에 플렉시블 디바이스의 보급을 위해서는 내열성이 낮은 기판 상에도 고성능 디바이스를 직접 성형할 수 있는 기술혁신, 즉 프로세스 온도의 저온화가 필수이다.

○ 인쇄법의 전자재료 잉크의 후보로서 유기분자는 용매에 가용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전자적인 기능을 갖는 재료의 종류가 풍부하다. 반도체나 발광재료 등의 분야에서는 실용화하려는 유력한 후보들이 많다. 그러나 플렉시블 프린터블 전자 디바이스의 응용으로서 고안되고 있는 많은 상품의 이미지는 메모리 기능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플렉시블 메모리에 관해서는 아직 유력한 재료 및 그 제조 프로세스의 후보는 없고 유기재료의 가능성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 2009년 12월 15일자 ‘Nikkei Electronics’는 동경대학에서 ‘유기 플래시 메모리(Organic Flash Memory)’ 개발을 보도하였다. PEN(polyethylene naphthalate) 수지 시트에 메모리 어레이를 만든 것이다. 유연성을 가진 이 플래시 메모리는 대형 센서, 전자종이, 대면적 유기 디바이스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동경대학 전기공학과 정보 시스템과의 Takeo Someya와 Tsuyoshi Sekitani 교수에 의해 유기 플래시 메모리가 개발되었고, 그 결과를 2009년 12월 11자 Science지에 발표하였다.

○ 한국에서는 활발한 IT 산업의 기반기술을 활용하고 이를 고분자 등 유기재료와 접목함으로써 큰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차세대 플렉시블 패널, 전자종이 등의 실용화와 함께 플렉시블 메모리 분야에서도 세계를 리드하는 선도자가 되기 위해서는 적정한 재료개발이 필수적이다.
저자
Sei Uemur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9
권(호)
29(10)
잡지명
機能材料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61~65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