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용량 수소저장물질

전문가 제언
○ 수소를 자동차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높은 부피 및 중량저장밀도로 자동차에 저장할 수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수소의 흡착 및 탈착 속도가 빨라야 한다. 수소를 고압으로 압축하거나 저온에서 액화시켜 저장하는 현재의 방법은 성능과 비용 면에서 불리하기 때문에 고체 상 내에 수소를 저장하는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 그러나 아직 자동차에 실용화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성능이 증대된 새로운 물질이나 기존의 물질을 합성하는 방법과 프로세스를 개발해야 한다.

○ 우리나라도 현대자동차가 레저차량인 투싼에 연료전지를 장착한 시제모델을 선보이는 등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자동차들을 세계 주요 자동차 메이커들이 경쟁적으로 개발하고는 있지만, 수소를 고압으로 압축하거나 액체 수소를 사용하는 것이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 따라서 에너지 효율이 극대화되고 청정한 수소자동차가 출현하기 위해서는 미국 에너지부가 제시한 목표 성능을 만족시키는 수소저장 시스템이 개발되어야 하는데, 물리화학적 특성을 모두 고려해 볼 때 고체 내 수소를 저장하는 방법이 유일한 해결책이다.

○ 이 글은 Sandia National Naboratories의 D. Siegel과 Northwestern University의 C. Wolverton 등이 수소저장 기술과 관련해 주로 중량 및 부피저장밀도를 중심으로 저장물질, 저장 메커니즘, 목표 성능 및 미래 전망 등을 조사·분석한 리뷰를 필자가 요점만을 간략하게 소개한 것이다.

○ 본 리뷰는 수소저장물질들을 타입 별로 분류해서 각각의 장단점과 현재의 기술수준을 방대한 참고자료와 함께 소개했다는 점에서 관련 자동차회사들은 물론 수소저장 분야 연구에 관심 있는 이들에게 일독을 권유한다. 동시에 에너지정책 입안에 관여하는 이들은 본 요약물이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저자
Jun Yang,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39
잡지명
Chemical Societ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656~675
분석자
이*웅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