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이오에탄올의 제조공정

전문가 제언
○ 근년 화석연료 자원의 고갈우려와 함께 화석연료의 과다 사용에 따른 지구온난화가 급속하게 진행됨에 따라 화석연료를 대체할 바이오연료의 생산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향후 에너지 및 연료의 상당 부분이 자연자원에 의존하겠지만 자연 에너지 중에서도 바이오에탄올과 같은 바이오연료는 어느 정도의 양적 규모를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경부하가 적기 때문에 점점 더 중요하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

○ 이 발명(WO 2009/072878 A1)은 종래의 바이오에탄올 제조공정에서 필요한 제트 증해(jet cooking) 등과 같이 에너지가 많이 소요되는 공정을 생략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적인 바이오에탄올 제조공정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제조설비는 증해 및 냉각 장치가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증류장치도 종래의 제조공정의 것보다 소규모 설비이기 때문에 설치비용이 적게 드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사용되는 원료가 주로 밀, 옥수수 등의 전분함유 물질을 사용하므로 식용자원과의 경합이 대량생산에서의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 지금까지 생산되는 바이오연료는 미국의 옥수수 바이오에탄올, 브라질의 사탕수수 바이오에탄올, 유럽의 대두유 바이오디젤이 주류이다. 이와 같이 식용 작물을 바이오연료의 원료로 사용함으로써 바이오연료의 생산량이 늘어남에 따라 세계적인 식량난을 초래하고 있다. 바이오매스 자원은 식량과 경합하는 곡물유래의 전분 및 당 물질에서 탈피하여 볏짚이나 목재, 폐기 유지재료 등을 활용하고 우리나라의 환경조건에서 자원 확보가 유리한 해조류 등의 초본 셀룰로오스로 전환함으로써 자급체제를 갖추는 것이 미래지향적이라 할 수 있다.

○ 현재의 시점에서 바이오에너지는 기존의 화석에너지에 비해서 경제성은 물론 이용 면에서의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취약점이 화석에너지를 대체하여 재생가능 에너지의 도입 및 보급하는 데 저해요인이 되지 않도록 정부차원에서의 정책적 지원이나 규제완화 등 복합적인 지원정책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앞으로 바이오에너지가 순환형 사회구축에 공헌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개발촉진을 위한 제도의 강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저자
SAUTNER, Karl-Heinz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9
권(호)
WO20090072878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2
분석자
황*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