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및 관련 질환의 임상적 치료방법
- 전문가 제언
-
○ 병리학적으로는 WHO에서 정한 이른바 표준체중기준치(BMI: Body Mass Index)가 30 이상인 경우에 비만증이라고 한다. 비만은 그 자체로는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비만으로부터 야기될 수 있는 사회적 장애와 과다한 지방으로 생기는 2차적인 합병증으로 고지혈증, 고혈압, 동맥경화, 당뇨병, 지방간, 관절이상의 발생 비율을 현저하게 증가시킨다는 데 문제가 있다.
○ 최근 10년 사이에 지방세포가 증가하거나 크기가 커져 비만이라는 생리적 표현형이 임상적으로 난치성 성인병의 위험률을 높인다는 사실은 많은 역학조사에서 밝혀졌고 실제로 체중감소가 이러한 질환의 발병률을 현저히 감소시킨다는 사실도 잘 알려져 있다
○ PubMed의 최근 보고에 의하면 극심한 비만환자를 위한 임상적 치료에서 비만환자의 체중감소를 촉진시키기 위해 복강경에 의한 새로운 위절제술을 시도한 결과 현저한 체중과 BMI의 감소가 초래되어 복강경 시술이 안전하고, 간편하고 효과적임을 보였다. 한편 위우회술에 의한 비만임상치료법인 Swedish adjustable gastric banding(SAGB)이 비만치료에서 효과적인 방법임이 보고되었으나 다양한 합병증이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다.
○ 이와 같이 극심한 비만은 하나의 질병 범주에 포함되어 심지어 수술요법에 의한 치료가 이루어지기에 이르고 있다. 수술요법이 여러 부작용이 있고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보다 안전한 요법이 요구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에서 신경독소인 BTX와 그 유사물들로 이루어진 조성물에 위내 주입을 통한 체중감소나 BMI를 낮추는 효과가 구명되고 있는 것은 매우 바람직한 일이지만 임상적으로 위궤양, 출혈 혹은 신경독소가 갖는 일반적인 독성과 부작용을 어떻게 극복하는가가 앞으로 해결할 과제로 생각된다.
- 저자
-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0
- 권(호)
- WO20100011597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24
- 분석자
- 신*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