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토류 자석의 재활용 연구동향
- 전문가 제언
-
○ Nd-Fe-B계 소결자석의 공장 내에서 발생하는 고형스크랩과 분말스크랩(연삭 슬러지)을 새 금속원소와 혼합하여 재용해하는 재활용과 희토류 성분을 산용융액으로 용출하여 용융염전해로 금속을 회수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또한 희토류금속이나 합금의 특성을 살리는 새로운 재생 기술에 대한 연구를 소개하였다.
○ 1983년에 Nd자석이 발명되고 다양한 응용이 개발됨에 따라 희토류 원소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REBa2Cu3O7로 대표되는 고온 초전도체는 아직도 응용기술이 개발 중이지만 10~20년 내에 대규모로 전력분야에 응용이 예상되고 있어 희토류금속은 중요성이 한층 더 높아질 것이다.
○ 희토류금속은 중국 남부에 편재되어 있으며 미국의 경우 1990년까지는 수요량을 자급하여 왔으나 2000년대에 와서는 수요의 90%를 중국에 의존하게 되었으며 일본이나 우리나라도 중국에 의존하고 있어 유사시 공급에 차질이 생기면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 특히 희토류 소결자석은 영구자석 중에서 가장 높은 자기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모터를 소형, 경량화 할 수 있어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 수요로 그 수요는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 자원의 고갈과 수요팽창에 대비하여 희토류자석의 재활용은 대단히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자석 생산과정에서 제품 회수율을 높이는 방법, 사용이 끝난 폐기된 기기에서 회수하는 방법, Nd-Fe-B 소결자석에 입계 개질법을 적용하여 희토류금속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는 방안 등을 강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 자원문제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해결하여야 할 과제이나 정부, 산업계 및 연구기간 등은 협력하여 미래의 자원문제를 종합적으로 검토할 때라고 생각한다.
- 저자
- MACHIDA Kenich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9
- 권(호)
- 79(8)
- 잡지명
- 金屬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705~711
- 분석자
- 이*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