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계 태양전지 고효율화와 양산화를 위한 플라스마 기술
- 전문가 제언
-
○ 태양전지는 자원적인 문제와 환경적인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기술 의존형 에너지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실리콘계 태양전지는 환경 안전성, 자원 풍부성 그리고 저비용 등의 관점에서 앞으로도 가장 유망하고 경제성 있는 에너지 공급원으로 고려되고 있는데, 태양전지 제조에서는 플라스마 기술이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 현재 태양전지는 90% 이상이 단결정 또는 다결정 실리콘을 사용하여 제조하는데, 반도체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되고 있다. 그러므로 반도체 제조 기술 강국인 우리나라가 반도체 인프라 산업과 결부시켜 기술을 개발하면 향후 에너지 수출산업으로 대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태양전지의 보급 확대는 제조 단가의 저하와 변환효율의 향상이 절대적이다. 현재 대부분의 실리콘계 태양전지는 결정형으로 다결정실리콘(mc-Si)의 가격이 제조비를 줄이는데 큰 장애가 되고 있다. 따라서 제조비를 줄이기 위해서는 실리콘의 사용량 축소가 불가피하므로 실리콘을 적게 사용하는 박막 실리콘 태양전지에 대해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 이 해설에서는 실리콘계 태양전지의 보급 확대를 위해 필요한 실리콘 계 태양전지의 박막화와 고효율화에 불가피한 플라스마 기술로 비정질실리콘(a-Si) 태양전지, 미세결정 실리콘(μc-Si) 태양전지, 탠덤형 태양전지 등 박막형 태양전지와 그리고 HIT형 태양전지, 결정 실리콘(c-Si 및 mc-Si) 태양전지 등의 제조에 이용되는 플라스마 기술을 소개하고 있다.
- 저자
- M. Kondo, H. Fugiwara and T. Sait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9
- 권(호)
- 85(8)
- 잡지명
- プラズマ核融合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499~508
- 분석자
- 이*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