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CCS 로드맵
- 전문가 제언
-
○ 지난 5년 동안은 CCS 산업활동이 EU를 중심으로 매우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CCS는 CO2가 기후변화를 가속화한다는 우려로부터 추진력을 얻고 있다. IPCC에 따르면 대기 중 온실가스의 기후변화 영향력을 제한하기 위해서는 CO2 배출량을 2030년까지 현재의 연간 40~49기가 톤 수준에서 30기가 톤으로 축소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 현재 각국정부는 수십억 달러를 CCS 프로젝트 R&D에 투자하고 있는데 대표적 참여기업으로 미국의 General Electric을 비롯해 Schlum- berger, Royal Dutch Shell, Duke Energy, American Electric Power 등이다.
○ 현재까지 CCS기술을 적용한 상업적 규모의 통합발전소는 존재하지 않는다. 새로 설립할 발전소에 CCS 시스템을 적용하게 되면 발전비용이 50~70%나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 비용은 장기적으로는 일반전력소비자가 부담하게 될 것이다.
○ 지금까지 CCS비용에 대한 수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지만 아직까지도 공통된 의견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다만 추정되고 있는 CCS비용의 범위는 CO2 1톤당 20달러에서 200달러에 이를 만큼 다양하다. 이로 인한 경제성 문제가 CCS전개에 있어서 가장 핵심과제가 될 것이다.
○ 기후변화감소에 대한 요구가 긴급해지고 정치적인 목소리가 커질수록 CCS 기술전개는 탄소배출이 낮은 글로벌 에너지시스템으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기후변화 감소목표를 앞두고 현재 CCS 기술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진화하는 중대 시점에 와 있다고 할 것이다. 2009년 말 코펜하겐 제 15차 세계기후변화회의에서도 각 국가마다 수용할 수 있는 성과는 도출하지 못했지만 CO2 배출감소 중요성에는 충분한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저탄소를 기반으로 한 산업계, 청정에너지 발전(태양, 풍력, 원자력 등) 및 교통체계를 구축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겠다.
- 저자
- Clair Gough etc.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0
- 권(호)
- 4(1)
- 잡지명
- International Journal of Greenhouse Gas Contro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12
- 분석자
- 한*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