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생물 규범실험 로보틱스의 장려

전문가 제언
○ 생물을 규범으로 한 로보틱스는 생물이 가지는 적응성을 이해하기 위해 매우 유용한 도구가 될 뿐만 아니라 보다 새로이 잘 적응하는 로봇을 개발할 수 있는 지식과 견문을 넓히는 데도 매우 유용하다. 인간의 보행은 높은 에너지 효율을 가지는데, 이는 아무런 조정 없이 중력 에너지만으로 걸어 내려갈 수 있는 수동 동역학 보행(passive dynamic walking) 연구를 통해 입증되어 가고 있다.

○ 인공근육이란 인간의 근육처럼 유연하게 신축하는 액추에이터(actuator)의 통칭으로 사용된다. 여기에는 고분자 재료를 이용한 폴리머 액추에이터,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형상기억 액추에이터, 정전기력을 이용한 정전 액추에이터 그리고 공기압을 이용한 공압 액추에이터(공기압 인공근육: pneumatic artificial muscle) 등이 있다.

○ 수동보행 로봇은 기계장치가 아주 적고, 중력의 힘을 이용하는 로봇이다. 일단 발목으로 일어서면 인간처럼 중력에 의지하여 서 있을 수도 있으며, 또한 내리막길은 모터가 없어도 걸어서 내려올 수 있다. 이러한 수동형 보행 원리를 이용한 수동보행 로봇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개발한 HUBO(Humanoid Robot)와 일본 Honda Motor Co.에서 개발한 2족 보행 휴머노이드 로봇 ASIMO에 비해 10배 이상 낮은 전력으로 보행할 수 있다.

○ 최근 들어 새로운 주목을 받기 시작한 공기압 인공근육 액추에이터는 미래사회를 다룬 여러 SF 영화 속에서 터미네이터, 로봇 아이 등 여러 모습으로 만날 수 있다. 최근에 와서 병원에서 활동하는 간호 로봇, 장난감으로 만들어진 형형색색의 물고기 그리고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와 생물(Organism)의 합성어인 사이보그(Cyborg)를 다룬 영화 로보캅(RoboCop)처럼 수족을 잃은 사람들에게도 차츰 인공근육을 적용해 가고 있는 추세라고 사료된다.
저자
Koh Hosod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09
권(호)
48(9)
잡지명
計測と制御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693~698
분석자
이*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