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리튬이온전지를 이용한 철도차량의 구동시스템

전문가 제언
○ 리튬 이온전지는 에너지 밀도가 높고 기억 효과가 없으며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자연방전이 일어나는 정도가 작기 때문에 시중의 휴대용 전자 기기틀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외에도 에너지 밀도가 높은 특성을 이용하여 방산업이나 자동화 시스템 그리고 철도차량 및 항공산업 분야에서도 점점 그 사용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 최근 들어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철도차량 등이 실현하고 있는 제동 시의 전력 회생이 에너지 저감에 효과적이라고 화제에 오르고 있지만 철도 전철화 구간에서는 30년 이상 전부터 이 기술이 실용화되고 있었다. 철도에 있어서 전력 회생은 전기차가 가선을 매개로하여 다른 전기차와 힘을 융합할 수 있다는 것이 일찍부터 실용화가 가능하였던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 JR Higashi Nippon에서는 비전철화 구간만을 달리는 디젤차와 환경부하 저감을 목적으로 디젤엔진과 배터리를 조합시킨 동력 시스템을 가진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으로 “NE Train”의 개발을 추진하여 2004년까지 시험 등에 의해 철도차량에 대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그 후 더욱 고출력, 긴 수명의 배터리가 개발되고 또한 영업용 차량에서는 스펙변경이 많아져 양산차 제작 시에 반영을 목적으로 한 양산 선행차량 “키하 E200형” 하이브리드 차량을 새로 만들게 되었다.

○ 한국은 분명 2차 전지 시장에서 후발주자였으나 1990년대 말부터 차세대 2차 전진인 리튬 이온전지 개발에 집중했던 “전략적 선택”이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기 시작하였다. 정보통신 연구진흥원에 다르면 국내 2차 전지 업체는 현재 150여 개가 있으며 이 중에서 이온 2차 전지와 관련된 기업은 50여 개의 수준이다. 리튬 이온전지는 대규모의 연구개발 비용이 불가피하다는 점 때문에 대기업들이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Naoki Shirak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09
권(호)
63(9)
잡지명
自動車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98~103
분석자
이*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