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국의 재생에너지 경제 연구현황

전문가 제언
○ 중국은 지난 20년간 연평균 10%씩의 경제성장을 이루어 왔으며 에너지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현재 세계 최대의 이산화탄소 배출국이며 2010년에는 미국을 추월하여 세계 최대의 에너지 소비국이 될 전망이다.

○ 중국은 에너지 공급을 주로 석탄에 의존해 왔는데 석탄광산과 수요지 사이의 거리가 멀어 점차 경제성이 낮아지고 있고 1990년대부터는 석탄 사용에 따른 대기오염과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커다란 사회문제가 되고 있어 새로운 에너지 정책을 모색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 석유 수요의 절반을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고 2007년부터는 풍부한 매장량에도 불구하고 수송문제와 비용 때문에 석탄도 수입하고 있다. 석유 수입의 급증은 에너지안보와 석유 수급 측면에서 국가적인 해결과제가 되고 있는 점도 새로운 에너지 정책의 필요성을 높이고 있다.

○ 한편 중국은 2000년도의 에너지원단위가 0.91(GDP 1,000달러 당 석유 환산 톤의 에너지 소비량)이나 되어 세계 평균의 0.32나 OECD 평균의 0.195에 비해 너무 높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의 획기적인 개선도 중요한 에너지 과제가 되고 있다.

○ 중국은 상기 과제들의 해결책으로서 장기적으로 재생에너지와 원자력을 대대적으로 개발하여 에너지 수요 증가를 충족하고 에너지 안보를 확보하기 위한 새로운 정책을 수립하였으며 2020년까지 에너지원단위의 40-50% 감소, 2030년까지 원자력 발전용량의 120-160GW 개발, 2020년까지 풍력 발전용량 100GW 개발, 2030년까지 연간 바이오에너지 생산량 3억 톤(석탄 기준) 등의 목표들을 수립하고 있다.

○ 그러나 지금까지 중국에서 수행된 재생에너지 연구들은 재생에너지의 역할과 중요성 평가에 치중해 왔고 재생에너지 개발이 산업과 경제 및 사회에 미치는 효과나 영향에 대한 연구는 별로 없었기 때문에 앞으로의 구체적인 개발 시나리오 작성에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 이 자료는 중국의 재생에너지 연구경험과 앞으로의 과제를 종합적으로 요약하고 있어 재생에너지 분야에서 크게 참고할 수 있는 자료이다.
저자
Hengyun Ma, Les Oxley, John Gibson, Wen L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0
권(호)
14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438~445
분석자
김*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