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네트워크의 현황과 전망
- 전문가 제언
-
○ 근래 네트워크라고 하면 기업 내의 랜이 주류였으나 점차 가정 내에 홈네트워크가 출현되고 있다. 또한 비즈니스의 디지털화, 정보인프라의 디지털화에 수반하여 가전제품의 디지털화의 필요성도 고조되고 있다. 가정 내의 전자기기를 유효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모든 가전기기를 홈네트워크에 접속하여 가정 외에서의 다양한 정보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 디지털 네트워크 사회의 도래로 다채널 방송, VOD(Video On De- mand), TV전화 등 다양한 정보서비스를 가정 내에서 수신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홈네트워크가 실현되면 교육, 의료, 금융, 유통, 오락 등 필요한 정보를 필요한 때에 가정에서 얻을 수 있다. 이 글에서는 홈네트워크의 표준화의 동향 및 향후전망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 최근에는 초고속 정보통신망으로 FTTH(Fiber to the Home)의 차세대 네트워크가 구축된 건물이 등장하고 있으며 홈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가전제품의 상호접속을 실현하기 위한 표준 활동이 활발하다.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은 홈네트워크 산업의 활성화와 제품의 호환성을 보장할 수 있는 KS국가표준을 2010년 8월까지 마련하여 지능형 홈네트워크의 기술기준에 반영할 예정이라고 한다.
○ 미국에서는 일반화되어 있는 SOHO(Small Office Home Office)라 부르는 재택근무에도 홈네트워크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차세대 에너지절감 송전망 계획인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에 이용되는 원격검침이나 홈오토메이션에의 이용을 발표하였다. 앞으로 홈네트워크에 관련된 다양한 기술의 상호운용,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표준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 홈네트워크에의 전송매체로서는 광섬유, 전등선, 무선 등이 예상된다. 특히 광섬유는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빠르고 저렴하며 취급이 간단하고 안전한 특징이 있다. 향후의 동향에서는 접속성(Interface), 가전제품을 제어하는 OS(Operating System)의 표준화가 기대된다.
- 저자
- Shiro SAKAT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10
- 권(호)
- 93(1)
- 잡지명
- 電子情報通信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83~87
- 분석자
- 유*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