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산기에 의한 온톨로지 구축
- 전문가 제언
-
○ 온톨로지란 컴퓨터 세계에서는 개념화의 명시적인 특성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웹의 문서검색에서 종래에는 단어 단위의 일치 혹은 유의어를 포함한 문서를 검색하는 것이었으나, 여기에 온톨로지의 개념을 도입한 검색에서는 문서의 내용을 설명하는 의미정보를 각 문서에 부여하여 의미정보를 기술하는 용어를 정의하는 구조를 구축하는 것이다.
○ 근래 정보를 효율적으로 생성, 이용, 관리하기 위하여 의미정보의 이용이 급속하게 진전되고 있다. 의미정보의 부여방법으로 개념 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온톨로지는 고도의 지적 정보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시맨틱 웹 등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계산기로 자동 구축하기 위한 기술인 온톨로지 학습을 중심으로 소개하였다.
○ 시맨틱 웹과 온톨로지에 대한 연구는 일본에서는 NII(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cs)를 비롯하여 Kyoto대학, Osaka대학, Keio대학 등에서 수행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서울대학, 성균관대학, 울산대학 등에서, 산업체에서는 다윈, 프로토마, 시멘틱스, KT 등에서 연구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에서는 온톨로지 시맨틱검색시스템을 설치 운영하고 있다.
○ 국내 온톨로지 구축 현황은 시소러스(thesaurus) 수준으로 학계와 관련 산업체 일부에서 구축을 시도하고 있다. 2005년 KISTI(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는 최상위 7개 클래스를 포함한 89개 클래스로 구성된 과학기술 분야 R&D관련 기반 정보의 모델링을 위한 OWL기반 온톨로지를 구축하였으며 2008년에 KISTI는 KATS(기술표준원)와 협동으로 온톨로지 파일럿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향후에는 차세대의 검색기술에서 의미정보와 온톨로지 기술을 이용하여 실현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웹에 대한 연구가 기대된다. 인간이나 기계가 취급하는 지식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상이한 온톨로지 정보를 의미적으로 대응이 이뤄지도록 통합하는 기술과 인간의 행동이력 등을 통합하고 기계의 제어지식을 얻는 기법을 구현하는 것이 앞으로 연구해야 할 과제다.
- 저자
- Ryutaro ICHIS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9
- 권(호)
- 92(9)
- 잡지명
- 電子情報通信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791~795
- 분석자
- 유*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