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적외선 서모그래피를 이용한 물체 표면온도 계측 기술

전문가 제언
○ 적외선의 역사는 1800년경 W. Herschel 연구팀이 태양 가시광의 장파장 영역에서 열 효과가 큰 복사현상이 발생하고 있음을 발견한 것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연구팀은 가시광 영역의 자색으로부터 적색에 가까워질수록 가열작용이 크고, 적색 광의 바깥 부분에서 큰 온도상승을 일으키는 현상을 발견하였다. 그 후 많은 분야에서 적외선의 응용기술을 연구개발하고 있다.

○ 적외선 서모그래피는 물체에서 복사된 열에너지를 2차원 온도분포로 영상화하는 장치이다. 주요 용도로는 전기설비 진단, 기계설비 진단, 온도이상 감시 등에 이용되고 있으나, 인플루엔자의 확대방지의 관점에서 공항 검역소를 비롯하여 다양한 기업체에서 비접촉 온도측정에 이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 계측기술 분야를 제압하는 것은 과학기술과 첨단산업을 제압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주요 계측 및 분석 장치의 해외시장 확대를 위해 일본 문부과학성에서는 첨단 계측산업을 육성시키고 있다. ‘일본 과학기술진흥기구 연구개발센터’에서는 첨단 계측기술에 관련된 새로운 연구 개발전략 수립, 각 기관에 대한 기술정보 제공을 등을 강화하고 있다.

○ 미국 상무성 국립표준연구소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1세기의 제조 및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는 열쇠는 계측기술이며, 국가의 계측 인프라를 확보하는 것이 세계적 경쟁력 유지에 필요하다’라는 것을 인식하고 산학협동에 의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 우리나라와 중국은 첨단 계측기술 분야에서 미국, 일본 등의 뒤를 추격하고 있으며, 특히 중국은 해외에서 활약하고 있는 연구 인력의 귀국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어 앞으로 첨단 계측기술이 더욱 향상될 것으로 전망되며 우리나라도 계측기술의 연구개발 수준을 높이고 우수 기술자의 집중양성 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Jiro Ooda,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09
권(호)
62(3)
잡지명
NEC 技報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88~92
분석자
장*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