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분자 유기 EL의 현상과 향후의 전망

전문가 제언
○ TDEL(Thick-film Dielectric Electro-luminescent)기술을 이용하여 액정 TV와 같은 화질이고 비용이 저렴한 TV를 실현하기 위한 상품개발에 매진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것은 37인치 패널정도로 무기물질로서 시야각은 170도, 최고휘도 500cd/㎡, 콘트라스트 비 500:1의 성능을 가진 막의 두께 2cm, 소비전력은 200W목표이고 수명은 4만 시간정도로 제작에 이르렀다. 그러나 고전압의 교류전원과 고휘도와 장수명인 청색 EL개발이 어려워 유기물질로 전환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 최근 유기 EL재료를 이용한 OLED디스플레이 기술이 진전되어 액티브 매트릭스형 OLED패널을 이용한 대화면 TV개발이 각 디스플레이 업체들이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다. 본고에서도 고분자 유기 EL 디스플레이 재료를 인쇄방법을 사용하여 소자 제작이 가능한 점 때문에 대면적화 및 저염가 제조측면에서 다루고 저분자형보다 고분자를 도핑하여 사용되는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 최근에는 효율 30lm/w인 인광고분자 백색 OLED를 인쇄공정을 이용하여 개발하기도 하고 SDK(Showa Denko K.K)는 기존의 필름형태의 적층구조와 달리 캐비티(cavity) 구조를 만들어 고효율화를 발표하기도 하였다.

○ SDK는 2015년까지는 150lm/w를 목표로 인쇄형 인광고분자 백색 OLED조명의 상용화에 가장 중요한 부분인 효율은 발광재료에 의해 결정되며 인광재료의 도입, 삼색 광원사이의 에너지효율 밸런스 전도도의 증대에 따른 구동전압의 감소와 함께 이뤄져 효율증대의 조명이 이뤄질 수 있음을 제시한 논고로서 매우 유익하리라 사료된다.

○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우리기술도 그들에 못지않은 연구를 기대하며 형광조명 등의 발전이 기대된다. 이처럼 조명성능의 향상을 위해 여러 주변재료와 시설물의 연구도 함께 발전해야 되리라 생각된다.
저자
TSUCIIIDA. Yoshihik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09
권(호)
47(8)
잡지명
光技術コンダクタ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438~442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