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균활성제의 역할 및 장내균총과 숙주 간의 커뮤니케이션
- 전문가 제언
-
○ 장관 내의 생균활성제 균주를 포함하여 장내균총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은 다양한 생물학 분야의 정보를 이용하는 다중 학문적인 연구 분야이다. 이러한 접근방식을 이용하면 숙주와 장내균총이 장내에서 수행하는 본질적인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 최근의 연구는 인간에게 유익한 속성을 발휘하는 생균활성제 기능성의 기작을 규명하는 수단으로서 생균활성제 균주가 공생 장내균총(commensal gut bacteria) 및 인간 숙주와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는가를 이해하는 데에 노력을 집중하고 있다. Omics technologies를 사용함으로써 생균활성제 균주와 공생세균 및 세균 환경과 인체의 위장관(gastrointestinal tract) 조직 사이의 본질적인 상호작용에 대해 보다 잘 이해하게 되었다.
○ 생체 내 특정 세포의 유전자 발현 정도를 분석하는 전사체학(tran- scriptomics)이 발전함에 따라 공생적이거나 생균활성제 효과를 나타내는 세균과 위장관 사이의 복잡한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통찰하는 것이 매우 빠르게 되었다.
○ 활성보조제(prebiotics)를 생균활성제 균주와 함께 투여하는 것과 delivery matrix의 유형과 같은 추가적인 측면을 고려하여야 한다. 이러한 조건은 생균활성제 균주의 유익한 효과를 증강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생균활성제 균주가 위장관 내에서 건강 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최적의 전달상태가 중요하다. 유전적 수단을 사용하면 장내균총의 복잡성과 위장관 내에서의 상호작용에 대한 지식과 이해가 가속화될 수 있다.
○ 비교유전체학적 연구(comparative genomic studies) 결과, 생균활성제 균주는 모두 동등하게 창조된 것이 아니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결국, 균주, 복용량 및 위장관 내에서 생균활성제 균주가 나타내는 부위 특이성(site-specific) 건강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서는 특히 인체를 대상으로 하는 추가적인 in vivo 연구가 필요하다.
- 저자
- Sarah O'Flaherty and Todd R. Klaenhammer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0
- 권(호)
- 20(4)
- 잡지명
- International Dairy Jour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262~268
- 분석자
- 정*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