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오일샌드와 석유에 마이크로웨이브 응용

전문가 제언
○ 과학, 의료 및 산업에 사용이 허용되는 2,400MHz의 마이크로웨이브의 경우 1초에 24억 번이나 상이 바뀐다. 물과 같은 극성 물질(마이크로웨이브 흡수물질)은 이 바뀌는 극에 따라 양극과 음극이 정렬된다. 그러나 이런 빠른 속도로 분자 단위의 물리적 배열은 불가능하고 다만 맹렬한 진동 끝에 분해된다.

○ 따라서 마이크로웨이브 에너지를 이용하면 화학반응, 특히 물질을 분해 또는 파괴하는 반응은 매우 효율적이다. 반응속도가 재래식 방법에 비해 차원이 다르게 빠르기 때문에 작은 반응기에서 다량 생산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문에서 지적한 대로 선택적 가열이 가능하다.

○ 우리나라에서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화학공정 촉진 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 그 중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SOx 분해와 황 회수기술‘은 기술적으로 배기가스에서 단체 황을 회수하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황이 판매 가능한 양에 이르지 못했다.

○ 그 밖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국산 무연탄으로 활성탄 제조’와 ‘마이크로웨이브 에너지로 디젤 엔진 시동 시 다량 생성되는 산화질소 파괴’(디젤 엔진은 시동 초기 다량의 NOx를 생성한다. 그러나 엔진이 가열된 이후 NOx 배출량은 규정된 농도 이하로 떨어진다.) 등을 연구하였다.

○ 오일샌드나 오일셰일에서 원유 추출은 in-situ 방법만이 현실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즉 이들 자원은 원유를 회수한 이후의 엄청난 양의 고형 폐기물(석탄 Ash와 비교된다.)의 처리라는 난제가 도사리고 있다. 이것이 지하에 매장된 그대로 원유를 추출하고 폐기물은 현장에 그대로 남겨두는 in-situ 방법이 촉망되는 까닭이다.

○ 오일샌드나 오일셰일에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원유 추출 방법이 개발되면 캐나다는 사우디아라비아를 능가하는 원유 매장량을 가지게 된다. 이 점에서 캐나다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원유 추출 기술의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저자
Mutyala, S., Fairbridge, C., Pare, J.R.J., Belanger, J.M.R, Ng, S., Hawkins, 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0
권(호)
91
잡지명
Fuel Processing 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27~135
분석자
김*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