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연료 생산을 위한 혼성 공정
- 전문가 제언
-
○ 생물자원의 공급 원료는 전분을 기반으로 하는 물질의 혼합물, 설탕을 기반으로 하는 물질 및 섬유소를 기반으로 하는 물질들이다. 단, 대략 25wt.%이상의 생물자원 공급 원료는 전분을 기반으로 하는 물질이어야 한다. 전분을 기반으로 하는 생물자원으로 선택되는 그룹은 옥수수, 보리와 밀이고, 설탕을 기반으로 하는 것은 사탕무, 사탕수수, 당밀 등이다. 섬유소를 기반으로 하는 물질은 볏짚, 나무, 폐지, 콩깍지 등이다.
○ 공급 원료인 전분, 설탕 및 섬유소를 제분기에서 분쇄한 다음 삶아서 충격파로 매시를 만든다. 이것을 가수분해하여 액화되고 설탕으로 전환된 것을 계속하여 발효시키면 액체 에탄올 제품이 생산된다. 이 에탄올 제품은 증류시설에서 농축시킨 다음 건조시설에서 연료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에탄올 제품이 생산된다. 증류시설의 잔재는 무산소성 소화시설에서 처리하여 생물가스제품과 소화된 고형제품이 생산된다.
○ 지구의 온난화로 기온이 올라가고 해수면이 높아져서 세계도처에서 재앙이 일어나고 있다. 이는 인류사회가 화석연료를 많이 사용하여 CO2가스에 의한 온실현상이 그 원인이 되고 있다. 화석연료의 원료인 원유는 세계적으로 중동지역 등 일부지역에 자원이 한정되어있고 원유가격이 폭등하고 그 매장량도 한계가 있으므로 대책이 시급한 현실이다.
○ 한국은 화석연료의 원유를 전량 대대적으로 수입하는 수출주도형 산업 국가이다. 그렇지만 한극에서는 이 발명과 같은 연구개발이나 특허출원이 필요하다. 생물자원을 활용하여 화석연료 대체에너지원을 개발생산 한다는 면과 청정에너지연료를 생산한다는 면의 그린에너지 정책에도 부합하는 시의 적절한 필수적인 연구개발 분야이다.
○ 이 분야의 발명은 생물디젤, 생물부탄올 및 다른 연료의 생산에도 영역을 넓혀야 할 것이다. 스위치그라스를 공급 원료로 생산된 에탄올 15%와 가솔린 85%의 비율로 혼합하여 E 85 연료가 생산되고 있다. 이렇게 생물자원을 원료로 사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은 화석연료가 부족한 현실에서 필요하고 긴박한 문제이다.
- 저자
- SHAW INTELLECTUAL PROPERTY HOLDINGS, INC.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WO20100011328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6
- 분석자
- 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