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MAX 네트워크의 위치서비스 기술
- 전문가 제언
-
○ 위치기반 서비스(LBS)는 위치의 응답시간(time to fix)과 위치의 정확도에 따라 응급구조 서비스, 존 빌링(zone billing), 내비게이션, 범죄자 등의 위치 추적, 차량관리, 개인안전, 생활편의 등의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다. LBS 관련 세계시장 선점을 위해 위치탐색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기술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 정확도 측면에서는 현재 GPS에 의한 기법이 가장 높은 정확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 중 DGPS 기법을 적용한 네트워크 기반 구조의 A-GPS 기법의 정확도가 가장 뛰어나다. 내비게이션 분야에서는 DGPS A-GPS 방법을 채용하고 있으나, 반드시 GPS 수신기가 내장된 단말기를 사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어 아직 시장은 초기단계에 있다.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친구 찾기나 장소 찾기 등의 위치서비스는 셀 ID를 이용한 셀 반경의 정확도를 적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 국내에서도 외부 기술에 의존적인 GPS 방법을 탈피하고 기술자립을 위해 1998년 구?정보통신부 주관으로 CDMA2000 이동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독자적인 무선측위 기술 개발을 위한 R&D 사업을 진행한 바 있다. 아울러 전자통신연구원/KT/삼성전자/SK텔레콤 등 업체들도 단독 또는 공동으로 독자기술 개발을 위한 노력을 기울였으나 CDMA2000 및 WCDMA 네트워크에서 아직 LBS 규격이 정립되지 못한 상태이다. 이에 별도의 무선측위 신호방식과 절차 등 부가적인 기술 개발을 통해 이동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한 정확도 높은 무선측위 방법에 대한 기술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
○ 무선인터넷의 급속한 활성화에 따른 핵심 부가서비스로의 LBS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면서 차세대 4G 이동통신 기술로 부각되고 있는 모바일 WiMAX와 LTE에 LBS 규격이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기존의 기술규격을 병행하면서 독창적인 상용 무선측위 시스템의 개발과 다양한 상용서비스의 개발이 요구된다. 아울러 LBS 시장의 조기 상용화와 프라이버시 침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정부차원의 법제화도 조속히 추진하여야 한다.
- 저자
- Muthaiah Venkatachalam and Kamran Etemad, Wayne Ballantyne and Bonnie Che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9
- 권(호)
- 47(10)
- 잡지명
-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92~98
- 분석자
- K*M CHONG TAE
- 분석물
-